뒤로가기

foodie

용금옥

용금옥湧金屋

湧金屋
한식 | 민물어패류 | 추어탕
오감평점[5.0점]
인쇄하기
restaurantImage
주소

서울 중구 다동 165-1

도로명
서울 중구 다동길 24-2
전화번호
02-777-1689
찾아가는 길
을지로입구역 2번 출구 삼성화재 뒤편 용금옥, 다동커피집, 초류향 골목
영업시간
11:00~22:00ㅣ토요일 11:00~20:00
휴무일
매월 둘째· 넷째 주 일요일 휴무
추천메뉴
추탕
예약
가능
주차장
주차불가
예산
1~2만원대

HISTORY

사이드이미지1
Foodie Premium으로 광고 없이 세부 정보를 이용하세요.
용금옥 - 1932년 개업한 서울식 추탕집.

1932년 개업한 전통의 노포로, 남북조절위 제3차 회담에서 북측 박성철 대표가 용금옥의 맛을 예찬하여 전국적인 화재가 되었던 서울식 추탕집이다. 창업자 홍기녀 할머니에서 지금의 큰손자 며느리 오지현 씨에 이르는 대를 잇는 손맛은 변함이 없다. 곱창과 양을 푹 곤 육수에 미꾸라지를 통째로 넣고 두부, 유부, 목이버섯, 느타리버섯, 대파, 양파, 호박(봄여름), 동이(가을겨울), 청양고추 등을 넣어 끓이는 게 특징이며, 미꾸라지는 전북 부안에서 양식된 것을 쓴다. 남도식이나 경상도, 원주식과 다르며, 종로구 통인동에 셋째 며느리 한정자 씨가 운영하는 용금옥이 있다.

조선시대 청계천 다리 아래에는 거지들이 살았는데 거지의 두목을 '꼭지'라고 불렀다. 이 거지들은 관이나 포도청의 특별 임무에 자주 동원되었는 데 그 대가로 포도청에서 미꾸라지를 잡아 추탕을 팔 수 있는 이권을 주었다. 그때부터 청계천 다리 밑에는 추탕을 비롯해 국밥을 파는 집들이 생기게 되고 서민들의 입소문을 타면서 추탕은 꼭지탕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 당시 청계천에는 미꾸라지가 지천이었기 때문에 재료 조달이 쉬웠으며, 그때부터 장안의 명물이 되어 오늘의 서울 추탕이 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추탕의 유래는 자세히 전해지지 않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조선시대 추두부탕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 2호선 을지로입구역 2번 출구 삼성화재 뒤편 용금옥, 다동커피집, 초류향 골목 ]

CRITIQUE

- 나의 오감을 만족시켰는가?
5.0 탁월 4.0 감동 3.0 좋음 2.0 평범 1.0 실망
  • rhruddk
    거지들이 먹었다는 서울식 추탕... 저는 나름 꽤 인상적인 맛을 느낄 수 있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