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낙산사, 강화 보문사, 여수 향일암과 함께 해수관음성지로 꼽히는 절이다. 683년(신문왕 3년) 원효가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출발, 산 이름을 보광산(普光山)이라 지었으나 태조 이성계가 여기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건국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금산으로 고쳤다. 금산 보리암의 상징과도 같은 해수관세음보살상 앞에서 기도를 하면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하여 수험생을 둔 부모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보리암이나 금산의 정상 어디서든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탁 트인 뷰를 만끽할 수 있다. 자동차로 이동한다면 가급적 오전 이른 시간에 방문하고, 제1복곡주차장에 주차 후 셔틀을 이용해 이동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