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춘, 정읍 죽력고와 함께 조선의 3대 명주로 꼽히는 술로, 조선시대 세시풍속집 '경도잡지'와 '동국세시기'에 제조기술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전해지고 있다. 술 이름에서 보듯이 쌀 외에 전주의 배, 봉동 생강 등의 지역 특산물에 울금, 계피 등을 첨가하여 2차 증류를 거쳐 만드는데, 부드러움과 알싸함이 특징이다. 연노랑의 고운 빛깔에 뒤끝이 맑은 이 술은 조정형 씨가 조선시대 완주 부사를 지낸 6대 조로부터 가문 대대로 전승되어 온 가양주를 복원해 선보이게 되었으며, 애주가들 사이에 '맛과 향이 독특한 여름밤 초승달 같은 술'이란 찬사를 얻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