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척해양레일바이크 (용화정거장)
액티비티 | 레포츠 | 레일바이크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141-1
- 033-576-0656
- 삼척해양레일바이크 (용화정거장) - 해안을 따라 달리며 추억 만들기.
궁촌역과 용화역에서 각각 출발해 해송길과 해안, 여러 개의 터널을 지나는 레일바이크다. 궁촌정거장에서 출발하면 철로 양쪽의 해송길 구간을 지나 해안을 따라 이어진 철로를 달리며 여유를 만끽하다 약 2.5km 지점 포토존이 있는 초곡 휴게소에서 15분 정차, 사진을 찍거나 간식을 먹은 후 각각 다른 콘셉트로 꾸며 놓은 초곡 1터널과 신비의 해저터널, 환상의 불빛쇼를 볼 수 있는 초곡 2터널, 무지개 불빛의 용화터널을 지나 용화정거장까지 혹은 역순으로 총 5.4km 구간을 달릴 수 있으며 총 소요시간은 약 1시간이다. 주말의 경우 미리 예매 후 방문하는 게 좋다.
[ 강릉 - 옥계 – 동해 - 삼척 - 7번 국도 - 궁촌정거장 ]
-
환선굴 (Hwanseongul)
명승지 | 자연풍경 | 동굴
- 강원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189
- 033-541-9266
- 환선굴 (Hwanseongul) - 국내에서 가장 크고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는 석회암 동굴.
국내 최대 규모의 석회암 동굴로, 총 길이 6.2km의 동굴 내부에는 대형 종유석, 유석, 석순 등의 생성물 덕분에 입구부터 웅장한 분위기를 낸다. 옛날 한 스님이 수도를 위해 동굴로 들어갔는데 나오는 것을 보지 못해 신선이 되었다고 믿고 스님을 환선이라 부르면서 동굴 이름도 환선굴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매표소에서 환선굴까지는 1.1km를 더 올라가야 하며, 모노레일을 이용해 편하게 오를 수 있다. 현장 매표만 가능하다.
[ 동해고속도로 산척IC로 나와 38번 국도 도계방향으로 직진 후 신기리에서 우회전 후 직진 ]
-
- 강원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189
- 033-541-7600
- 대금굴 - 8m 높이의 비룡폭포와 백두산 천지를 닮은 천지연이 있는 동굴.
모노레일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대금굴은 1회 40명, 하루 720명만 방문할 수 있는 일명 한정판 동굴이다. 다른 동굴에서는 볼 수 없는 8m 높이의 비룡폭포와 백두산 천지를 닮은 천지연을 볼 수 있으며, 경사가 매우 심하고 대금굴에는 엄청난 양의 물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모노레일이 아니면 접근조차 불가능하다. 가이드 설명을 들으며 관람할 수 있으며, 입장권은 사전 예매로만 구입이 가능하다. 촬영이 금지되어 있어 사진으로는 볼 수 없다.
[ 동해고속도로 산척IC로 나와 38번 국도 도계방향으로 직진 후 신기리에서 우회전 후 직진 ] 하절기(3~10월) 08:30~17:00(30분 간격) 동절기(11~2월) 09:00~16:00(30분 간격)
-
덕풍계곡 (응봉산)
명승지 | 자연풍경 | 계곡
- 강원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128
- 033-576-0394
- 덕풍계곡 (응봉산) - 마지막 비경이 보존된 트레킹 코스의 최고봉.
삼척과 울진 사이에 솟은 응봉산의 골짜기를 따라 이어진 암반계곡으로, 덕풍산장이 있는 매표소에서 트레킹 코스 입구까지는 5.5km의 거리로 마을과 떨어져 있어 한국의 마지막 비경이 보존된 오지 중의 오지로 꼽힌다. 덕풍계곡 입구에서 용소의 제3폭포에 이르는 12km의 구간 대자연의 미관은 금강산 내금강을 방불케 할 정도로 천혜의 비경이다. 덕풍마을에서 약 2Km의 거리에 이르면 제1폭포와 용소가 있고 그 수심은 약 40m에 이른다. 여기서 또 2.4Km 지점에 이르면 제2폭포와 용소가 있으며 그 용소의 수심도 제1폭포와 비슷하다. 여기서 제3폭포까지 뻗은 계곡의 반석지대는 장장 3Km에 이른다. 덕풍산장이 있는 매표소에서 트레킹 코스 입구까지는 5.5km의 거리로 마을 셔틀을 수배해 이동해야 한다. 매표소 (덕풍산장)-덕풍마을(5.5km, 도보 1시간, 마을셔틀 15분)-등산로 입구-제1용소(2km)-제2용소(2.4km)-제3용소(5km)
[ 삼척에서 울진 방면 7번 국도를 타고 근덕, 임원을 지나 월천에서 416번 지방도를 타고 풍곡으로 이동 ] 산악트럭(주차장-등산로 입구) 예약 : 010 5241 6619, 010 2525 4595
-
- 강원 삼척시 갈천동 산 3-16
- 033-573-5473
- 동해바다열차 - 동해의 랜드마크 바다열차.
강릉, 동해, 삼척해변을 잇는 53km의 동해안 해안선을 달리는 관광열차로, 한국철도공사 철도관광사업 법인인 코레일 투어서비스가 2007년 운행을 시작했다. 전 좌석에서 바다를 조망할 수 있도록 좌석을 측면 방향으로 배치하고 창문도 일반열차보다 크게 만들어 푸른 바다와 드넓은 백사장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바다열차는 총 4량으로 특실 1·2호차, 가족석(4인)과 열차 카페로 구성된 3호차, 단체에게 인기가 좋은 일반 4호차와 사랑을 전하는 달콤한 프러포즈룸(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삼척해변역↔추암역↔동해역↔묵호역↔정동진역↔강릉역 ]
-
- 강원 삼척시 근덕면 용화리 6
- 033-570-4606
- 삼척해상케이블카 - 아름다운 삼척의 바다를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는 곳.
삼척시 근덕면 용화리에서 장호리를 횡단하는 해상 케이블카로, 장호항과 장호해수욕장을 조망하며 아름다운 삼척의 바다를 만끽할 수 있다. 왕복이 아니라면 용화역에서 출발하는 것이 전망이 더 좋은 편이며, 장호역 도착 후 장호항 정자까지 산책하며 힐링할 수 있다. 평일 오전 시간을 이용하면 기다리지 않고 호젓하게 즐길 수 있다.
[ 근덕면 용화리→장호리→장호항 정자까지 해안산책로 ] 용화리 탑승장 : 강원 삼척시 근덕면 삼척로 2154-31 (용화리 6)
-
- 강원 삼척시 신기면 신기리 374
- 033-541-1523
- 강원종합박물관 - 웅장하고 이국적인 풍경의 야외 종유석.
대진교육재단에서 운영하는 종합박물관으로, 자연사부터 도자기, 금속, 동굴, 종유석, 세계종교, 민속목공예 등 총 8개의 전시관에 세계 각국의 유물 2만 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자료 표본과 각 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화석을 볼 수 있는 자연사 전시실을 비롯해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를 비롯한 사냥도구와 토기부터 생활공예, 불교공예, 그리고 야외에 웅장하게 펼쳐진 종유석까지 다양한 수집품을 돌아볼 수 있다. 특히 주변 자연 환경과 어우러진 엄청난 규모의 야외 종유석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 SNS에서 핫한 반응을 얻고 있다. 2004년 12월 개관.
[ 동해고속도로 삼척 IC로 나와 우회전, 38번 국도로 좌회전 후 직진, 하정 교차로에서 우회전 후 직진, 신기면 소재지 입구 ]
-
삼척해양레일바이크 (용화정거장)
액티비티 | 레포츠 | 레일바이크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141-1
- 033-576-0656
- 삼척해양레일바이크 (용화정거장) - 해안을 따라 달리며 추억 만들기.
궁촌역과 용화역에서 각각 출발해 해송길과 해안, 여러 개의 터널을 지나는 레일바이크다. 궁촌정거장에서 출발하면 철로 양쪽의 해송길 구간을 지나 해안을 따라 이어진 철로를 달리며 여유를 만끽하다 약 2.5km 지점 포토존이 있는 초곡 휴게소에서 15분 정차, 사진을 찍거나 간식을 먹은 후 각각 다른 콘셉트로 꾸며 놓은 초곡 1터널과 신비의 해저터널, 환상의 불빛쇼를 볼 수 있는 초곡 2터널, 무지개 불빛의 용화터널을 지나 용화정거장까지 혹은 역순으로 총 5.4km 구간을 달릴 수 있으며 총 소요시간은 약 1시간이다. 주말의 경우 미리 예매 후 방문하는 게 좋다.
[ 강릉 - 옥계 – 동해 - 삼척 - 7번 국도 - 궁촌정거장 ]
-
환선굴 (Hwanseongul)
명승지 | 자연풍경 | 동굴
- 강원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189
- 033-541-9266
- 환선굴 (Hwanseongul) - 국내에서 가장 크고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는 석회암 동굴.
국내 최대 규모의 석회암 동굴로, 총 길이 6.2km의 동굴 내부에는 대형 종유석, 유석, 석순 등의 생성물 덕분에 입구부터 웅장한 분위기를 낸다. 옛날 한 스님이 수도를 위해 동굴로 들어갔는데 나오는 것을 보지 못해 신선이 되었다고 믿고 스님을 환선이라 부르면서 동굴 이름도 환선굴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매표소에서 환선굴까지는 1.1km를 더 올라가야 하며, 모노레일을 이용해 편하게 오를 수 있다. 현장 매표만 가능하다.
[ 동해고속도로 산척IC로 나와 38번 국도 도계방향으로 직진 후 신기리에서 우회전 후 직진 ]
-
- 강원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189
- 033-541-7600
- 대금굴 - 8m 높이의 비룡폭포와 백두산 천지를 닮은 천지연이 있는 동굴.
모노레일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대금굴은 1회 40명, 하루 720명만 방문할 수 있는 일명 한정판 동굴이다. 다른 동굴에서는 볼 수 없는 8m 높이의 비룡폭포와 백두산 천지를 닮은 천지연을 볼 수 있으며, 경사가 매우 심하고 대금굴에는 엄청난 양의 물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모노레일이 아니면 접근조차 불가능하다. 가이드 설명을 들으며 관람할 수 있으며, 입장권은 사전 예매로만 구입이 가능하다. 촬영이 금지되어 있어 사진으로는 볼 수 없다.
[ 동해고속도로 산척IC로 나와 38번 국도 도계방향으로 직진 후 신기리에서 우회전 후 직진 ] 하절기(3~10월) 08:30~17:00(30분 간격) 동절기(11~2월) 09:00~16:00(30분 간격)
-
덕풍계곡 (응봉산)
명승지 | 자연풍경 | 계곡
- 강원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128
- 033-576-0394
- 덕풍계곡 (응봉산) - 마지막 비경이 보존된 트레킹 코스의 최고봉.
삼척과 울진 사이에 솟은 응봉산의 골짜기를 따라 이어진 암반계곡으로, 덕풍산장이 있는 매표소에서 트레킹 코스 입구까지는 5.5km의 거리로 마을과 떨어져 있어 한국의 마지막 비경이 보존된 오지 중의 오지로 꼽힌다. 덕풍계곡 입구에서 용소의 제3폭포에 이르는 12km의 구간 대자연의 미관은 금강산 내금강을 방불케 할 정도로 천혜의 비경이다. 덕풍마을에서 약 2Km의 거리에 이르면 제1폭포와 용소가 있고 그 수심은 약 40m에 이른다. 여기서 또 2.4Km 지점에 이르면 제2폭포와 용소가 있으며 그 용소의 수심도 제1폭포와 비슷하다. 여기서 제3폭포까지 뻗은 계곡의 반석지대는 장장 3Km에 이른다. 덕풍산장이 있는 매표소에서 트레킹 코스 입구까지는 5.5km의 거리로 마을 셔틀을 수배해 이동해야 한다. 매표소 (덕풍산장)-덕풍마을(5.5km, 도보 1시간, 마을셔틀 15분)-등산로 입구-제1용소(2km)-제2용소(2.4km)-제3용소(5km)
[ 삼척에서 울진 방면 7번 국도를 타고 근덕, 임원을 지나 월천에서 416번 지방도를 타고 풍곡으로 이동 ] 산악트럭(주차장-등산로 입구) 예약 : 010 5241 6619, 010 2525 4595
-
- 강원 삼척시 갈천동 산 3-16
- 033-573-5473
- 동해바다열차 - 동해의 랜드마크 바다열차.
강릉, 동해, 삼척해변을 잇는 53km의 동해안 해안선을 달리는 관광열차로, 한국철도공사 철도관광사업 법인인 코레일 투어서비스가 2007년 운행을 시작했다. 전 좌석에서 바다를 조망할 수 있도록 좌석을 측면 방향으로 배치하고 창문도 일반열차보다 크게 만들어 푸른 바다와 드넓은 백사장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바다열차는 총 4량으로 특실 1·2호차, 가족석(4인)과 열차 카페로 구성된 3호차, 단체에게 인기가 좋은 일반 4호차와 사랑을 전하는 달콤한 프러포즈룸(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삼척해변역↔추암역↔동해역↔묵호역↔정동진역↔강릉역 ]
-
- 강원 삼척시 근덕면 용화리 6
- 033-570-4606
- 삼척해상케이블카 - 아름다운 삼척의 바다를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는 곳.
삼척시 근덕면 용화리에서 장호리를 횡단하는 해상 케이블카로, 장호항과 장호해수욕장을 조망하며 아름다운 삼척의 바다를 만끽할 수 있다. 왕복이 아니라면 용화역에서 출발하는 것이 전망이 더 좋은 편이며, 장호역 도착 후 장호항 정자까지 산책하며 힐링할 수 있다. 평일 오전 시간을 이용하면 기다리지 않고 호젓하게 즐길 수 있다.
[ 근덕면 용화리→장호리→장호항 정자까지 해안산책로 ] 용화리 탑승장 : 강원 삼척시 근덕면 삼척로 2154-31 (용화리 6)
-
- 강원 삼척시 신기면 신기리 374
- 033-541-1523
- 강원종합박물관 - 웅장하고 이국적인 풍경의 야외 종유석.
대진교육재단에서 운영하는 종합박물관으로, 자연사부터 도자기, 금속, 동굴, 종유석, 세계종교, 민속목공예 등 총 8개의 전시관에 세계 각국의 유물 2만 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자료 표본과 각 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화석을 볼 수 있는 자연사 전시실을 비롯해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를 비롯한 사냥도구와 토기부터 생활공예, 불교공예, 그리고 야외에 웅장하게 펼쳐진 종유석까지 다양한 수집품을 돌아볼 수 있다. 특히 주변 자연 환경과 어우러진 엄청난 규모의 야외 종유석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 SNS에서 핫한 반응을 얻고 있다. 2004년 12월 개관.
[ 동해고속도로 삼척 IC로 나와 우회전, 38번 국도로 좌회전 후 직진, 하정 교차로에서 우회전 후 직진, 신기면 소재지 입구 ]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