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검색
로그인/회원가입
로그인
회원가입
지역별
역세권
맛집촌
위치기반
loading
강원도
철원군
레드 리스트
그린 리스트
필터설정
나의 상황에 맞는 필터를 선택해보세요.
산근처
계곡근처
바다근처
가족끼리 여행
모래사장
야경이 멋진곳
캠핑하기 좋은곳
차박하기 좋은곳
트래킹하기 좋은곳
드라이브하기 좋은곳
데이트하기 좋은곳
산책하기 좋은곳
포토 스폿
레포츠
적용
노동당사
관광지 | 문화유적 | 기타건축물
강원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3-5
노동당사 - 비극의 문화유산. 1946년 소련군정 시기에 완공한 지상 3층의 러시아식 무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한국전쟁 전까지 조선노동당사로 사용되었다. 당시 철원에는 소련군정의 강원도 임시 도청(1946년 12월 원산시로 이전)이 소재했으며, 경기도에서 38선 이북으로 들어간 포천, 가평을 북한 강원도에 편입시킨 시기이다. 이 건물을 지을 때 1개 리(里)당 쌀 200가마씩 걷고 노동력을 동원했으며, 내부 작업은 비밀유지를 위해 공산당원 이 외에는 동원하지 않았다고 한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철원읍 관전리 87번 국도변 ]
삼부연폭포 (三釜淵瀑布)
명승지 | 자연풍경 | 폭포
강원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산 23-5
033-450-5151
삼부연폭포 (三釜淵瀑布) - 정선이 반한 시원시원한 남성미. 철원 8경 중 2경으로, 물줄기가 노귀탕, 솥탕, 가마탕 등 세 개의 소로 꺾어져 이어지고 폭포의 하부가 가마솥처럼 움푹 패어 있어 가마솥 '부(釜)' 자를 써서 삼부연(三釜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궁예가 철원을 태봉의 도읍으로 삼을 때 이 소에 살던 세 마리의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아무리 가뭄이 심해도 물이 말라본 적이 없다고 한다. 1747년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의 해악전신첩에 수록되기도 한 삼부연의 풍경은 장엄하면서도 시원시원한 남성미를 자랑한다. [ 의정부→포천→신철원에 들어서기 직전 신철원교에서 우회전→개천길을 따라 2km→ 삼부연폭포 입구 ] 인근 도로명 주소 : 강원 철원군 갈말읍 삼부연로 216 ( 신철원리 산23)
고석정 (Goseokjeong)
명승지 | 자연풍경 | 협곡
강원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20-15
033-450-5559
고석정 (Goseokjeong) - 왕들이 노닐던 한탄강 절경. 철원 8경 중 제1경으로, 신라 진평왕, 고려 충숙왕이 노닐던 곳이자 조선시대 대표적인 의적인 임꺽정이 이곳에서 숨어 활동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강 한가운데 높이 10m의 고석암이 한탄강 협곡과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만들고 있다. 신라 진평왕이 한탄강의 바위 협곡 중간에 불쑥 솟아 있는 바위 꼭대기에 10평 정도의 2층 누각을 세운 이후로 주변 지역까지 통틀어 고석정이라 부르고 있으며, 지금은 사라진 정자 바로 밑의 바위 동굴에 조선 명종 때의 의적 임꺽정이 숨어 있었다는 구전이 전해진다. [ 철원 고석정국민관광지 내 한탄강변 ] 셔틀버스 운행 : 10:00~17:30까지, 태봉대교에서 출발해 은하수교, 고석정, 순담계곡, 드르니 주차장 구간
한탄강물윗길
명승지 | 자연풍경 | 강
강원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522-11
033-450-5255
한탄강물윗길 - 물 위에서 즐기는 한탄강의 비경. 한탄강 물 위에 뜬 부교를 걸어가면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주상절리를 둘러볼 수 있는 트레킹 코스다. 한탄강 물윗길은 태봉대교에 순담계곡까지 한탄강을 따라 이어지는 약 8km의 트레킹 코스 중 약 2.4km 구간에 부교를 띄워 물 위를 걷고 나머지 5.6km는 강변길을 걷게 되는데, 강 위의 부교를 걷는 구간이 있어서 한탄강 물윗길이란 이름을 얻었다. 매년 한탄강의 래프팅 시즌이 끝나는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운영한다.태봉대교 → 송대소(은하수교) → 승일교 → 고석정 → 순담 (총거리 : 물윗길 2.4km, 강변길 5.6km) [ 한탄강 태봉대교 건너면 바로 좌측 ] 셔틀버스 운행 : 10:00~17:30까지, 태봉대교에서 출발해 은하수교, 고석정, 순담계곡, 드르니 주차장 구간 태봉대교 주차장 : 강원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522-11
한탄강주상절리길 (잔도길)
명승지 | 자연풍경 | 산책로
강원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산174
033-450-5365
한탄강주상절리길 (잔도길) - 한탄강 벼랑 위를 걷는 짜릿한 스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한탄강 주상절리를 절벽 위에 세워진 잔도길을 따라 벼랑 위를 걷는 짜릿한 스릴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둘러볼 수 있는 트레킹 코스다. 드르니 매표소에서 덱 길을 따라 순담계곡에 이르면 본격적인 잔도길이 시작되는데, 여기서부터 1.0km 구간의 뷰가 한탄강 주상절리의 백미로 꼽히는 가장 아름다운 구간이다. 2021년 11월 개통.순담계곡 ↔ 합수지 ↔ 고석정 ↔ 승일교 ↔ 마당바위 ↔ 은하수교 → 태봉대교(도착) [ 신철원시외버스터미널 지나 지포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직진, 드르니 교차로 지나 직진하면 좌측 ]주상절리길 드리니매표소 : 강원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산174 셔틀버스 운행 : 10:00~17:30까지, 태봉대교에서 출발해 은하수교, 고석정, 순담계곡, 드르니 주차장 구간
소이산모노레일 (소이산전망대)
액티비티 | 레포츠 | 모노레일
강원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366-1
070-7372-0362
소이산모노레일 (소이산전망대) - 모노레일 타고 황금들판 구경하기. 철원역사문화공원에서 소이산 정상 바로 아래까지 올라가는 왕복 1.8km 구간의 모노레일로, 해발 362m의 소이산 전망대에 올라 넓은 철원평야는 물론 멀리 DMZ까지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정상 일대에 나무 데크를 깔아 사방을 조망할 수 있게 해 놓았으며, 사진으로 된 안내판에는 남방한계선과 평강 평야, 아이스크림 고지, 월정역, 옛 철원공립보통학교, 철원경찰서 자리 등을 표시해 놓아 실제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주말의 경우 미리 예매 후 방문하는 게 좋다. 2022년 9월 개통. [ 노동당사 맞은편, 철원역사문화공원 입장 후 전방 500m ]
철원역사문화공원
관광지 | 문화거리
강원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366-1
070-7374-6401
철원역사문화공원 - 일제강점기 철원으로의 시간여행. 1930년대 인구 8만명이 거주하며 번성했던 옛 철원 시가지를 재현해 놓은 역사문화공원이다. 역무원 80여 명이 근무했던 옛 철원역을 비롯해 당대 최고의 무용가 최승희와 배뱅이굿 명창 이은관이 처음 무대에 선 철원극장, 금강산 관광을 위해 철원을 찾은 관광객들이 묵었던 관동여관, 일출여관, 정오에 포를 쏘아 시간을 알리던 탑 모양의 오정포, 그리고 신흥부자들이 살던 주택, 빈민들이 살던 토막집, 우체국, 소방서, 학교, 철원금융조합, 약국, 양장점 등 당시 시가지 풍경을 재현해 놓아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을 떠나는 기분이다. 철원역에서는 소이산으로 올라가는 모노레일을 탑승할 수 있다. [ 철원 옛 노동당사 맞은편 ]
DMZ평화관광
관광지 | 문화유적 | 지역명소
강원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457-7
033-452-9989
DMZ평화관광 - 안보관광 in 철원. 철원 DMZ 일원(민통선 이북 지역)의 제2땅굴, 평화전망대, 승리전망대, 월정리역, 백마고지, 노동당사, DMZ 생태평화공원 등을 둘러볼 수 있다. DMZ 특성상 자유관광이 아닌 현장 예약을 통해 일정과 시간의 통제를 받는 것이 특징이며, 두루미평화타운에 위치한 DMZ 평화관광안내센터에서 순서대로 예약을 받아 동승한 가이드와 함께 버스로 이동한다. 제2땅굴 - 1975년 3월 19일 두 번째로 발견된 북한의 남침용 지하 땅굴로, 지하 50~160m, 총연장은 3.5Km라고 한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1825] 평화전망대 - 중부전선 최북단에서 북한 땅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모노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편하게 오를 수 있다. 3층 전망대에서 휴전선 부근의 비무장지대를 비롯하여 평강고원과 선전마을 등이 훤히 보인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중강리 588-14] 승리전망대 - 휴전선의 총 길이 약 250km 중 정중앙에 위치한 승리전망대는 북한 관측이 가장 잘 되는 곳으로 유명한데, 이곳에서는 북한군의 이동모습, 금강산 전기 철도 터, 광삼평야, 아침리 마을 등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영서로 9579] 월정리역 - 경원선의 간이역이었던 월정리역은 남방한계선이 최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는 객차 잔해 일부분만 남아 있다. “철마는 달리고 싶다”는 강렬한 팻말과 함께 분단된 민족의 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두루미로 1882] 백마고지 - 백마고지 전투에서 희생된 영령을 진혼하기 위하여 건립된 곳이며, 처절했던 격전현장을 재현하고 있다. 높이 22.5m의 기념탑을 비롯해 ‘회고의 장’에는 위령비와 분향소, ‘기념의 장’에는 전적비와 김종오 장군의 유품을 전시한 전시관, ‘다짐의 장’에는 전망대와 자유의 종각 등의 시설이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1길 72] 노동당사 - 해방 후 북한이 공산독재 정권 강화와 주민의 통제를 목적으로 건립하고 한국전쟁 전까지 사용한 북한 노동당 철원군 당사이다. 현재는 한국전쟁의 피해로 건물이 검게 그을리고, 포탄과 총탄 자국이 남아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금강산로 265] DMZ 생태평화공원 - 환경부, 국방부, 철원군이 공동협약을 맺어 전쟁과 평화, 생태가 공존하는 DMZ를 세계에 전파하고자 조성된 곳이며, 아름다운 호수형 습지의 자연환경과 천연기념물 두루미와 독수리, 수달과 묵납자루 등 다양한 희귀 생물종까지 볼 수 있다. 탐방코스로는 ‘제 1코스 : 십자탑 탐방로’와 ‘제 2코스 : 용양보 코스’가 있다.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생창길 481-1] [ 예약 및 출발지 : DMZ평화관광안내센터 (두루미평화타운) ] DMZ평화관광안내센터 (두루미평화타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2길 15-19 (양지리 457-7) 전화 : 033-452-9989
노동당사
관광지 | 문화유적 | 기타건축물
강원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3-5
노동당사 - 비극의 문화유산. 1946년 소련군정 시기에 완공한 지상 3층의 러시아식 무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한국전쟁 전까지 조선노동당사로 사용되었다. 당시 철원에는 소련군정의 강원도 임시 도청(1946년 12월 원산시로 이전)이 소재했으며, 경기도에서 38선 이북으로 들어간 포천, 가평을 북한 강원도에 편입시킨 시기이다. 이 건물을 지을 때 1개 리(里)당 쌀 200가마씩 걷고 노동력을 동원했으며, 내부 작업은 비밀유지를 위해 공산당원 이 외에는 동원하지 않았다고 한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철원읍 관전리 87번 국도변 ]
삼부연폭포 (三釜淵瀑布)
명승지 | 자연풍경 | 폭포
강원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산 23-5
033-450-5151
삼부연폭포 (三釜淵瀑布) - 정선이 반한 시원시원한 남성미. 철원 8경 중 2경으로, 물줄기가 노귀탕, 솥탕, 가마탕 등 세 개의 소로 꺾어져 이어지고 폭포의 하부가 가마솥처럼 움푹 패어 있어 가마솥 '부(釜)' 자를 써서 삼부연(三釜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궁예가 철원을 태봉의 도읍으로 삼을 때 이 소에 살던 세 마리의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아무리 가뭄이 심해도 물이 말라본 적이 없다고 한다. 1747년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의 해악전신첩에 수록되기도 한 삼부연의 풍경은 장엄하면서도 시원시원한 남성미를 자랑한다. [ 의정부→포천→신철원에 들어서기 직전 신철원교에서 우회전→개천길을 따라 2km→ 삼부연폭포 입구 ] 인근 도로명 주소 : 강원 철원군 갈말읍 삼부연로 216 ( 신철원리 산23)
고석정 (Goseokjeong)
명승지 | 자연풍경 | 협곡
강원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20-15
033-450-5559
고석정 (Goseokjeong) - 왕들이 노닐던 한탄강 절경. 철원 8경 중 제1경으로, 신라 진평왕, 고려 충숙왕이 노닐던 곳이자 조선시대 대표적인 의적인 임꺽정이 이곳에서 숨어 활동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강 한가운데 높이 10m의 고석암이 한탄강 협곡과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만들고 있다. 신라 진평왕이 한탄강의 바위 협곡 중간에 불쑥 솟아 있는 바위 꼭대기에 10평 정도의 2층 누각을 세운 이후로 주변 지역까지 통틀어 고석정이라 부르고 있으며, 지금은 사라진 정자 바로 밑의 바위 동굴에 조선 명종 때의 의적 임꺽정이 숨어 있었다는 구전이 전해진다. [ 철원 고석정국민관광지 내 한탄강변 ] 셔틀버스 운행 : 10:00~17:30까지, 태봉대교에서 출발해 은하수교, 고석정, 순담계곡, 드르니 주차장 구간
한탄강물윗길
명승지 | 자연풍경 | 강
강원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522-11
033-450-5255
한탄강물윗길 - 물 위에서 즐기는 한탄강의 비경. 한탄강 물 위에 뜬 부교를 걸어가면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주상절리를 둘러볼 수 있는 트레킹 코스다. 한탄강 물윗길은 태봉대교에 순담계곡까지 한탄강을 따라 이어지는 약 8km의 트레킹 코스 중 약 2.4km 구간에 부교를 띄워 물 위를 걷고 나머지 5.6km는 강변길을 걷게 되는데, 강 위의 부교를 걷는 구간이 있어서 한탄강 물윗길이란 이름을 얻었다. 매년 한탄강의 래프팅 시즌이 끝나는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운영한다.태봉대교 → 송대소(은하수교) → 승일교 → 고석정 → 순담 (총거리 : 물윗길 2.4km, 강변길 5.6km) [ 한탄강 태봉대교 건너면 바로 좌측 ] 셔틀버스 운행 : 10:00~17:30까지, 태봉대교에서 출발해 은하수교, 고석정, 순담계곡, 드르니 주차장 구간 태봉대교 주차장 : 강원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522-11
한탄강주상절리길 (잔도길)
명승지 | 자연풍경 | 산책로
강원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산174
033-450-5365
한탄강주상절리길 (잔도길) - 한탄강 벼랑 위를 걷는 짜릿한 스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한탄강 주상절리를 절벽 위에 세워진 잔도길을 따라 벼랑 위를 걷는 짜릿한 스릴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둘러볼 수 있는 트레킹 코스다. 드르니 매표소에서 덱 길을 따라 순담계곡에 이르면 본격적인 잔도길이 시작되는데, 여기서부터 1.0km 구간의 뷰가 한탄강 주상절리의 백미로 꼽히는 가장 아름다운 구간이다. 2021년 11월 개통.순담계곡 ↔ 합수지 ↔ 고석정 ↔ 승일교 ↔ 마당바위 ↔ 은하수교 → 태봉대교(도착) [ 신철원시외버스터미널 지나 지포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직진, 드르니 교차로 지나 직진하면 좌측 ]주상절리길 드리니매표소 : 강원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산174 셔틀버스 운행 : 10:00~17:30까지, 태봉대교에서 출발해 은하수교, 고석정, 순담계곡, 드르니 주차장 구간
소이산모노레일 (소이산전망대)
액티비티 | 레포츠 | 모노레일
강원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366-1
070-7372-0362
소이산모노레일 (소이산전망대) - 모노레일 타고 황금들판 구경하기. 철원역사문화공원에서 소이산 정상 바로 아래까지 올라가는 왕복 1.8km 구간의 모노레일로, 해발 362m의 소이산 전망대에 올라 넓은 철원평야는 물론 멀리 DMZ까지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정상 일대에 나무 데크를 깔아 사방을 조망할 수 있게 해 놓았으며, 사진으로 된 안내판에는 남방한계선과 평강 평야, 아이스크림 고지, 월정역, 옛 철원공립보통학교, 철원경찰서 자리 등을 표시해 놓아 실제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주말의 경우 미리 예매 후 방문하는 게 좋다. 2022년 9월 개통. [ 노동당사 맞은편, 철원역사문화공원 입장 후 전방 500m ]
철원역사문화공원
관광지 | 문화거리
강원 철원군 철원읍 사요리 366-1
070-7374-6401
철원역사문화공원 - 일제강점기 철원으로의 시간여행. 1930년대 인구 8만명이 거주하며 번성했던 옛 철원 시가지를 재현해 놓은 역사문화공원이다. 역무원 80여 명이 근무했던 옛 철원역을 비롯해 당대 최고의 무용가 최승희와 배뱅이굿 명창 이은관이 처음 무대에 선 철원극장, 금강산 관광을 위해 철원을 찾은 관광객들이 묵었던 관동여관, 일출여관, 정오에 포를 쏘아 시간을 알리던 탑 모양의 오정포, 그리고 신흥부자들이 살던 주택, 빈민들이 살던 토막집, 우체국, 소방서, 학교, 철원금융조합, 약국, 양장점 등 당시 시가지 풍경을 재현해 놓아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을 떠나는 기분이다. 철원역에서는 소이산으로 올라가는 모노레일을 탑승할 수 있다. [ 철원 옛 노동당사 맞은편 ]
DMZ평화관광
관광지 | 문화유적 | 지역명소
강원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457-7
033-452-9989
DMZ평화관광 - 안보관광 in 철원. 철원 DMZ 일원(민통선 이북 지역)의 제2땅굴, 평화전망대, 승리전망대, 월정리역, 백마고지, 노동당사, DMZ 생태평화공원 등을 둘러볼 수 있다. DMZ 특성상 자유관광이 아닌 현장 예약을 통해 일정과 시간의 통제를 받는 것이 특징이며, 두루미평화타운에 위치한 DMZ 평화관광안내센터에서 순서대로 예약을 받아 동승한 가이드와 함께 버스로 이동한다. 제2땅굴 - 1975년 3월 19일 두 번째로 발견된 북한의 남침용 지하 땅굴로, 지하 50~160m, 총연장은 3.5Km라고 한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1825] 평화전망대 - 중부전선 최북단에서 북한 땅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모노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편하게 오를 수 있다. 3층 전망대에서 휴전선 부근의 비무장지대를 비롯하여 평강고원과 선전마을 등이 훤히 보인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중강리 588-14] 승리전망대 - 휴전선의 총 길이 약 250km 중 정중앙에 위치한 승리전망대는 북한 관측이 가장 잘 되는 곳으로 유명한데, 이곳에서는 북한군의 이동모습, 금강산 전기 철도 터, 광삼평야, 아침리 마을 등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영서로 9579] 월정리역 - 경원선의 간이역이었던 월정리역은 남방한계선이 최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는 객차 잔해 일부분만 남아 있다. “철마는 달리고 싶다”는 강렬한 팻말과 함께 분단된 민족의 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두루미로 1882] 백마고지 - 백마고지 전투에서 희생된 영령을 진혼하기 위하여 건립된 곳이며, 처절했던 격전현장을 재현하고 있다. 높이 22.5m의 기념탑을 비롯해 ‘회고의 장’에는 위령비와 분향소, ‘기념의 장’에는 전적비와 김종오 장군의 유품을 전시한 전시관, ‘다짐의 장’에는 전망대와 자유의 종각 등의 시설이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1길 72] 노동당사 - 해방 후 북한이 공산독재 정권 강화와 주민의 통제를 목적으로 건립하고 한국전쟁 전까지 사용한 북한 노동당 철원군 당사이다. 현재는 한국전쟁의 피해로 건물이 검게 그을리고, 포탄과 총탄 자국이 남아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금강산로 265] DMZ 생태평화공원 - 환경부, 국방부, 철원군이 공동협약을 맺어 전쟁과 평화, 생태가 공존하는 DMZ를 세계에 전파하고자 조성된 곳이며, 아름다운 호수형 습지의 자연환경과 천연기념물 두루미와 독수리, 수달과 묵납자루 등 다양한 희귀 생물종까지 볼 수 있다. 탐방코스로는 ‘제 1코스 : 십자탑 탐방로’와 ‘제 2코스 : 용양보 코스’가 있다.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생창길 481-1] [ 예약 및 출발지 : DMZ평화관광안내센터 (두루미평화타운) ] DMZ평화관광안내센터 (두루미평화타운)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2길 15-19 (양지리 457-7) 전화 : 033-452-9989
1
삼거리쌀국수
에스닉 | 베트남식
강원 철원군 서면 와수리 1140-1
길목해물찜칼국수
한식 | 면류 | 칼국수
강원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977-23
전선휴게소
한식 | 민물어패류 | 민물매운탕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산 81-6
포항식당
한식 | 어패류 | 해물된장
강원 철원군 서면 자등리 729-5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