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검색
로그인/회원가입
로그인
회원가입
지역별
역세권
맛집촌
위치기반
loadin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레드 리스트
그린 리스트
필터설정
나의 상황에 맞는 필터를 선택해보세요.
산근처
계곡근처
바다근처
가족끼리 여행
모래사장
야경이 멋진곳
캠핑하기 좋은곳
차박하기 좋은곳
트래킹하기 좋은곳
드라이브하기 좋은곳
데이트하기 좋은곳
산책하기 좋은곳
포토 스폿
레포츠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ECC)
관광지 | 문화유적 | 기타건축물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11-1
02-3277-2114
이화여자대학교 (ECC) - 대지 미술을 연상케하는 독특하고 현대적인 건축미. 이화 캠퍼스 복합단지 ECC(Ewha Campus Complex)는 유럽연합(EU) 본부와 여수엑스포 본관을 설계한 프랑스 출신의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가 설계한 대형 지하 캠퍼스로, 연면적 7만여㎡의 언덕 가운데를 파내고 만든 6층짜리 대학 건물과 그 사이 공간은 마치 거대한 대지 미술을 연상케하는 독특하고 현대적인 건축미로 사진가들의 출사 장소로도 유명하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이는데, 이화여대의 이화(梨花)라는 말이 중국어로 ‘돈이 불어난다’는 ‘리파(利發)’와 발음이 비슷해 중국인들의 필수 관광코스가 되었다고 한다. [ 2호선 이대역 3번 출구에서 럭키아파트 방향 직진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관광지 | 문화유적 | 박물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101
02-360-8590
서대문형무소 - 옛 조선통감부 감옥. 1908년 조선통감부가 항일 독립운동가들을 탄압, 수용할 목적으로 만든 식민지 근대 감옥이다. 1908년(순종 2)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四天王要馬)의 설계에 의해 경성감옥(京城監獄)이란 이름으로 개소했으며, 1912년 경성감옥이 마포 공덕동에 신축 옥사로 이전함에 따라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해방 후에는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로 불리다가 1961년 행형법(行刑法) 개정에 따라 ‘서울교도소’가 되었고, 1967년부터 1987년까지는 ‘서울구치소’로 불렸다. 1987년 서울구치소가 의왕시로 이전하면서 1995년 공사를 시작하여 1998년 11월 국가사적 제324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으로 개관하였다. 3·1운동 직후 유관순 열사가 투옥되어 숨을 거둔 지하 옥사와 감시탑, 고문실, 사형장, 7개의 옥사동, 역사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관사와 고문실로 쓰이던 역사전시관에는 영상자료실, 강우규 의사의 의거를 재현한 매직비전, 형무소역사실,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벽관, 독방 등의 옥중생활실 등이 있다. 이밖에 사형장 옆에 시신을 몰래 버리기 위해 만든 시구문이 복원되어 있다. [ 3호선 독립문역 5번 출구 바로 앞 ]
이화여자대학교 (ECC)
관광지 | 문화유적 | 기타건축물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11-1
02-3277-2114
이화여자대학교 (ECC) - 대지 미술을 연상케하는 독특하고 현대적인 건축미. 이화 캠퍼스 복합단지 ECC(Ewha Campus Complex)는 유럽연합(EU) 본부와 여수엑스포 본관을 설계한 프랑스 출신의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가 설계한 대형 지하 캠퍼스로, 연면적 7만여㎡의 언덕 가운데를 파내고 만든 6층짜리 대학 건물과 그 사이 공간은 마치 거대한 대지 미술을 연상케하는 독특하고 현대적인 건축미로 사진가들의 출사 장소로도 유명하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이는데, 이화여대의 이화(梨花)라는 말이 중국어로 ‘돈이 불어난다’는 ‘리파(利發)’와 발음이 비슷해 중국인들의 필수 관광코스가 되었다고 한다. [ 2호선 이대역 3번 출구에서 럭키아파트 방향 직진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관광지 | 문화유적 | 박물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101
02-360-8590
서대문형무소 - 옛 조선통감부 감옥. 1908년 조선통감부가 항일 독립운동가들을 탄압, 수용할 목적으로 만든 식민지 근대 감옥이다. 1908년(순종 2)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四天王要馬)의 설계에 의해 경성감옥(京城監獄)이란 이름으로 개소했으며, 1912년 경성감옥이 마포 공덕동에 신축 옥사로 이전함에 따라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해방 후에는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로 불리다가 1961년 행형법(行刑法) 개정에 따라 ‘서울교도소’가 되었고, 1967년부터 1987년까지는 ‘서울구치소’로 불렸다. 1987년 서울구치소가 의왕시로 이전하면서 1995년 공사를 시작하여 1998년 11월 국가사적 제324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으로 개관하였다. 3·1운동 직후 유관순 열사가 투옥되어 숨을 거둔 지하 옥사와 감시탑, 고문실, 사형장, 7개의 옥사동, 역사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관사와 고문실로 쓰이던 역사전시관에는 영상자료실, 강우규 의사의 의거를 재현한 매직비전, 형무소역사실,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벽관, 독방 등의 옥중생활실 등이 있다. 이밖에 사형장 옆에 시신을 몰래 버리기 위해 만든 시구문이 복원되어 있다. [ 3호선 독립문역 5번 출구 바로 앞 ]
1
맛있는집
한식 | 일반한식 | 떡볶이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동 311-6
스탠바이키친 (Standby kitchen)
디저트 | 샌드위치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 91-15
미스터서왕만두 (華商)
중식 | 중식만두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 27-20
써스데이스터핑 (Thursday Stuffing)
양식 | 유럽식 | 샤퀴테리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133-10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