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246
- 043-544-3895
- 강서면옥 - 보은을 대표하는 평양식 냉면집.
1979년 개업한 40여 년 업력의 냉면 노포로, 1965년 서울 인현동 강서면옥으로 시집가 14년간 시아버지 밑에서 냉면 조리법을 전수받은 강원도 평창 출신의 둘째 며느리 김승희 씨가 1979년 친정 부모님을 따라 속리산으로 이사해 읍사무소 앞 지금의 보신옥 자리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강원도산 메밀을 사용해 직접 면을 뽑고 양지를 푹 곤 육수를 사용해 냉면을 만드는데, 정통 평양냉면을 기대하고 가면 실망할 수도 있지만 나름 평양냉면에 근접한 맛을 낸다.
동절기에는 영업을 안 한다.
[ 보은 시외버스터미널 지나 영동방향 보청천 뚝방길로 50m 우측 산호 모텔 앞에 위치 ]
-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2
- 043-543-3736
- 경희식당 - 상궁 출신의 할머니가 개업한 한정식집.
1950년부터 대전에서 한정식집을 운영하다가, 1974년 속리산으로 옮겨 온 70여 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집이다. 조선말 상궁을 지낸 남경희 할머니가 개업해, 우리 고유의 요리법을 기본으로 한 산채음식이 특징이다. 밤버섯, 싸리버섯 등의 희귀 버섯과 산채가 어우러진 40여 가지의 반찬과 불고기 전골이 나온다. 짜지 않으면서 깊고 인상적인 맛의 된장이나 흔하지 않은 겨자장도 이 집이 아니면 맛볼 수 없는 별미다. 원조 할머니가 돌아가신 뒤 예전만 못하다는 평도 보인다.
[ 법주사 관광단지 안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9-1
- 043-543-1413
- 김천식당 - 순대전골이 유명한 곳.
1986년 개업한 40여 년 업력의 집으로, 보은에서 순대와 순대전골로 손꼽히는 곳이다. 막창을 이용한 왕순대, 대창을 이용한 소 순대 등 순대에는 보은의 특산물인 대추가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곱창, 당면, 깻잎이 듬뿍 들어간 푸짐하면서도 깔끔한 맛의 순대전골이 시그니처 메뉴이다. 대부분의 손님들이 순대전골을 시킬 정도로 이 집을 대표하는 메뉴이며, 보은 읍내에서 가장 유명하고 손님이 많은 집으로도 유명하다. 맛과 양, 두 가지 모두 만족할 수 있다.
[ 보은 시외버스터미널 맞은편 골목길에 위치 ]
-
속리산토속음식점
한식 | 일반한식 | 산채정식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0-1
- 043-543-3917
- 속리산토속음식 - 산채정식과 버섯전골정식이 유명한 곳.
속리산의 산채와 버섯류, 더덕무침, 생선, 전 등 20여 가지의 반찬이 나오는 산채정식과 더덕구이와 도토리묵, 버섯전 등이 추가되는 산채더덕구이정식을 비롯하여 속리산의 야생 버섯이 듬뿍 들어간 버섯전골정식 등을 맛볼 수 있다. 상차림은 된장찌개를 중심으로 구성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토장국에 배추와 아욱을 넣어 시원하게 끓인 다슬기해장국도 인기다.
[ 속리산 법주사 단지 내, 하나로마트 속리산지소 길 건너편 골목 대성슈퍼 맞은편 ]
-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0-1
- 043-543-3917
- 속리토속음식점 - 산채와 야생버섯을 활용한 정식과 전골, 백숙.
1976년 개업한 50여 년 업력의 노포로, 속리산에서 채취한 각종 산채와 야생버섯 등을 활용한 다양한 토속 별미를 선보인다. 10여 가지의 산나물이 들어간 산채비빔밥과 다양한 야생버섯을 끓인 전골 스타일의 버섯찌개와 20여 가지의 반찬이 한정식처럼 나오는 산채버섯찌개정식, 토종닭에 엄나무, 당귀, 더덕, 잔대, 황기, 가시오갈피, 대추 등의 약재에 자연산 송이버섯이 들어간 송이백숙이 인기 메뉴이다.
7가지 정식과 3가지 버섯전골, 버섯찌개, 버섯해장국, 버섯 백숙 등 선택의 폭이 넓다.
[ 속리산터미널에서 법주사 방향으로 직진하면 좌측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55-2
- 043-544-2869
- 신라식당 - 북어찌개 백반으로 이름을 알린 충청도식 백반집.
1982년 박영자 씨가 개업한 40여 년 업력의 노포로, 북어찌개나 북엇국이 나오는 충청도식 백반을 맛볼 수 있다. 북어에 두부, 애호박, 파 등이 들어간 북어찌개는 들기름이 들어가 구수하면서도 칼칼한 뒷맛이 일품이다. 여름철에는 열무김치와 찐 감자가 별미인데, 열무김치와 찐감자 때문에 일부러 찾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라고 한다.
[ 보은 읍내 동현 사거리 농협 바로 옆 ]
-
신토불이약초식당
한식 | 일반한식 | 산채비빔밥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343-6
- 043-543-0433
- 신토불이약초식당 - 약초 산채한정식으로 특허를 받은 한정식집.
1994년 개업한 30여 년 업력의 집으로, 전골과 불고기를 제외하고도 60여 가지의 반찬에 약초와 나물류만 30여 가지를 자랑하는 상차림으로 회자되는 집이다. 꾀꼬리버섯으로 불리는 오이꽃 버섯, 능이버섯, 송이버섯, 산초열매, 두릅, 씀바귀, 등나무 순, 잔대, 미역취, 누룩치, 질경이, 모시대, 삽주나물, 개미취, 소나무 아래서만 자란다는 봉령 등 희귀한 약초와 산채들로 요리해 낸다. 디저트로 솔잎 진액 차도 맛볼 수 있다. 법주사를 여행하는 길에 한 번쯤 들러볼 만한 집이다.
[ 속리산 법주사관광단지 내 속리산우체국 근처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이평리 134-11
- 043-543-1781
- 이원식당 - 보은으로 다시 돌아온 노포 올갱이집.
보은에서 올갱이해장국으로 유명한 집으로, 원래는 보은에서 영업을 하다가 손주들의 교육 문제로 가게를 다른 사람에게 넘기고 청주로 옮겼다가 다시 보은으로 돌아온 노포다. 가족들이 직접 잡은 국내산 다슬기에 부추, 얼갈이배추, 아욱이 들어간 구수하면서도 깊은 국물 맛이 특징이다. 원래 보은에서의 메뉴로 청주에서는 하지 않았던 선지 해장국과 수육도 다시 맛볼 수 있다. 2000년 10월 개업.
[ 보은시외버스정류장에서 동다리 사거리에서 우회전, 동다리 건너 직진하면 좌측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246
- 043-544-3895
- 강서면옥 - 보은을 대표하는 평양식 냉면집.
1979년 개업한 40여 년 업력의 냉면 노포로, 1965년 서울 인현동 강서면옥으로 시집가 14년간 시아버지 밑에서 냉면 조리법을 전수받은 강원도 평창 출신의 둘째 며느리 김승희 씨가 1979년 친정 부모님을 따라 속리산으로 이사해 읍사무소 앞 지금의 보신옥 자리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강원도산 메밀을 사용해 직접 면을 뽑고 양지를 푹 곤 육수를 사용해 냉면을 만드는데, 정통 평양냉면을 기대하고 가면 실망할 수도 있지만 나름 평양냉면에 근접한 맛을 낸다.
동절기에는 영업을 안 한다.
[ 보은 시외버스터미널 지나 영동방향 보청천 뚝방길로 50m 우측 산호 모텔 앞에 위치 ]
-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2
- 043-543-3736
- 경희식당 - 상궁 출신의 할머니가 개업한 한정식집.
1950년부터 대전에서 한정식집을 운영하다가, 1974년 속리산으로 옮겨 온 70여 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집이다. 조선말 상궁을 지낸 남경희 할머니가 개업해, 우리 고유의 요리법을 기본으로 한 산채음식이 특징이다. 밤버섯, 싸리버섯 등의 희귀 버섯과 산채가 어우러진 40여 가지의 반찬과 불고기 전골이 나온다. 짜지 않으면서 깊고 인상적인 맛의 된장이나 흔하지 않은 겨자장도 이 집이 아니면 맛볼 수 없는 별미다. 원조 할머니가 돌아가신 뒤 예전만 못하다는 평도 보인다.
[ 법주사 관광단지 안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9-1
- 043-543-1413
- 김천식당 - 순대전골이 유명한 곳.
1986년 개업한 40여 년 업력의 집으로, 보은에서 순대와 순대전골로 손꼽히는 곳이다. 막창을 이용한 왕순대, 대창을 이용한 소 순대 등 순대에는 보은의 특산물인 대추가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곱창, 당면, 깻잎이 듬뿍 들어간 푸짐하면서도 깔끔한 맛의 순대전골이 시그니처 메뉴이다. 대부분의 손님들이 순대전골을 시킬 정도로 이 집을 대표하는 메뉴이며, 보은 읍내에서 가장 유명하고 손님이 많은 집으로도 유명하다. 맛과 양, 두 가지 모두 만족할 수 있다.
[ 보은 시외버스터미널 맞은편 골목길에 위치 ]
-
속리산토속음식점
한식 | 일반한식 | 산채정식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0-1
- 043-543-3917
- 속리산토속음식 - 산채정식과 버섯전골정식이 유명한 곳.
속리산의 산채와 버섯류, 더덕무침, 생선, 전 등 20여 가지의 반찬이 나오는 산채정식과 더덕구이와 도토리묵, 버섯전 등이 추가되는 산채더덕구이정식을 비롯하여 속리산의 야생 버섯이 듬뿍 들어간 버섯전골정식 등을 맛볼 수 있다. 상차림은 된장찌개를 중심으로 구성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토장국에 배추와 아욱을 넣어 시원하게 끓인 다슬기해장국도 인기다.
[ 속리산 법주사 단지 내, 하나로마트 속리산지소 길 건너편 골목 대성슈퍼 맞은편 ]
-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0-1
- 043-543-3917
- 속리토속음식점 - 산채와 야생버섯을 활용한 정식과 전골, 백숙.
1976년 개업한 50여 년 업력의 노포로, 속리산에서 채취한 각종 산채와 야생버섯 등을 활용한 다양한 토속 별미를 선보인다. 10여 가지의 산나물이 들어간 산채비빔밥과 다양한 야생버섯을 끓인 전골 스타일의 버섯찌개와 20여 가지의 반찬이 한정식처럼 나오는 산채버섯찌개정식, 토종닭에 엄나무, 당귀, 더덕, 잔대, 황기, 가시오갈피, 대추 등의 약재에 자연산 송이버섯이 들어간 송이백숙이 인기 메뉴이다.
7가지 정식과 3가지 버섯전골, 버섯찌개, 버섯해장국, 버섯 백숙 등 선택의 폭이 넓다.
[ 속리산터미널에서 법주사 방향으로 직진하면 좌측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55-2
- 043-544-2869
- 신라식당 - 북어찌개 백반으로 이름을 알린 충청도식 백반집.
1982년 박영자 씨가 개업한 40여 년 업력의 노포로, 북어찌개나 북엇국이 나오는 충청도식 백반을 맛볼 수 있다. 북어에 두부, 애호박, 파 등이 들어간 북어찌개는 들기름이 들어가 구수하면서도 칼칼한 뒷맛이 일품이다. 여름철에는 열무김치와 찐 감자가 별미인데, 열무김치와 찐감자 때문에 일부러 찾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라고 한다.
[ 보은 읍내 동현 사거리 농협 바로 옆 ]
-
신토불이약초식당
한식 | 일반한식 | 산채비빔밥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343-6
- 043-543-0433
- 신토불이약초식당 - 약초 산채한정식으로 특허를 받은 한정식집.
1994년 개업한 30여 년 업력의 집으로, 전골과 불고기를 제외하고도 60여 가지의 반찬에 약초와 나물류만 30여 가지를 자랑하는 상차림으로 회자되는 집이다. 꾀꼬리버섯으로 불리는 오이꽃 버섯, 능이버섯, 송이버섯, 산초열매, 두릅, 씀바귀, 등나무 순, 잔대, 미역취, 누룩치, 질경이, 모시대, 삽주나물, 개미취, 소나무 아래서만 자란다는 봉령 등 희귀한 약초와 산채들로 요리해 낸다. 디저트로 솔잎 진액 차도 맛볼 수 있다. 법주사를 여행하는 길에 한 번쯤 들러볼 만한 집이다.
[ 속리산 법주사관광단지 내 속리산우체국 근처 ]
-
- 충북 보은군 보은읍 이평리 134-11
- 043-543-1781
- 이원식당 - 보은으로 다시 돌아온 노포 올갱이집.
보은에서 올갱이해장국으로 유명한 집으로, 원래는 보은에서 영업을 하다가 손주들의 교육 문제로 가게를 다른 사람에게 넘기고 청주로 옮겼다가 다시 보은으로 돌아온 노포다. 가족들이 직접 잡은 국내산 다슬기에 부추, 얼갈이배추, 아욱이 들어간 구수하면서도 깊은 국물 맛이 특징이다. 원래 보은에서의 메뉴로 청주에서는 하지 않았던 선지 해장국과 수육도 다시 맛볼 수 있다. 2000년 10월 개업.
[ 보은시외버스정류장에서 동다리 사거리에서 우회전, 동다리 건너 직진하면 좌측 ]
-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86-2
- 043-542-5252
- 전주맛집식당 (구 평양식당) -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의 터줏대감.
1974년 개업한 40여 년 전통의 집으로, 산채정식과 산채비빔밥을 전문으로 한다. 속리산에서 채취한 산채와 도토리를 이용한 산채정식, 산채비빔밥, 산더덕구이, 송이버섯전골, 도토리묵 등을 선보이고 있으며,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만을 사용해 현지의 토속적인 전통의 맛을 잘 살린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 속리산 법주사 단지 내, 하나로마트 속리산지점 인근 ]
-
-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392-26
- 043-543-2237
- 태화루 - 꼬막이 들어 간 짬뽕으로 소문이 난 중국집.
요리는 일체 없으며 간단한 식사류만 취급하는 중국집으로, 묵직한 국물에 꼬막과 해산물, 돼지고기가 들어간 꼬막 향이 강한 짬뽕으로 유명하다. 비계가 붙은 돼지고기를 사용한 자장면도 평균은 한다. 다소 굵은 면발에 조미료 맛이 다소 강한 게 흠이라면 흠이다.
[ 남보은농협 마로지점 바로 맞은 편에 위치 ]
도로명 주소 :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송현로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