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리산뱀사골 (실비단폭포)
명승지 | 자연풍경 | 계곡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216-10
- 063-630-8900
- 지리산뱀사골 (실비단폭포) - 지리산의 대표적인 계곡.
지리산 북쪽 기슭의 토끼봉과 삼도봉 사이의 화개재에서 남원시 산내면 반선리 마을까지 뻗어 내린 12km의 깊고 아름다운 계곡이다. 계곡 곳곳에는 기암괴석과 깊은 소가 자리하고 수량도 풍부해 여름철 피서지로, 가을에는 피아골과 함께 단풍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하다. 선인대, 석실, 요룡대, 탁용소, 병소, 병풍소, 제승대, 간장소 등과 같은 명승지가 도처에 있다. 반선마을 뱀사골 탐방안내소에서 출발해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2.3km의 신선길 탐방로를 따라 가볍게 트레킹 할 수 있다. 뱀사골 입구 반선마을에서 1시간 정도를 산길로 걸어야 닿을 수 있는 오지 중 오지 마을인 와운마을의 천년송을 돌아봐도 좋다. 신선길 코스 : 반선마을→뱀사골 탐방 안내소→석실→요룡대→탁용소→뱀소→병소→요룡대→와운마을 천년송→석실→반선마을 와운마을 코스 : 반선마을→뱀사골 요룡대→와운마을→천년송→요룡대→반선마을(왕복 6㎞, 2시간 소요)
[ 남원역 앞 142번 버스, 반선마을 하차 ]
-
광한루 (광한루원)
관광지 | 문화유적 | 누각
- 전북 남원시 천거동 187-1
- 063-625-4861
- 광한루 (광한루원) - 야경이 더 아름다운 누각 정원.
밀양 영남루,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4대 누각으로 꼽힌다. 1419년 황희가 광통루라 불린 누각을 처음 올린 후 1434년 정인지가 중건하고 그 아름다움에 취해 '하늘나라 월궁의 옥경에 들어서면 광한 청허지부가 있다는 신화적 전설'을 상징하는 광한루로 이름을 붙였다. 그 뒤 정유재란에 소실되었다가 1638년 남원부사 신감이 복원했다. 오작교에서 보이는 광한루의 모습은 주변의 풍경과 어우러져 누각 건축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야경도 아름답지만 특히 연못 속에 비친 완월정의 어둠 속 반영은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오작교는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이 이루어지는 배경이 되는 곳인데, 이곳을 밟고 지나가면 부부금슬이 좋아진다는 설이 있다.
[ 남원 요천변 추어탕거리 옆 ]
-
지리산바래봉 (철쭉군락지)
명승지 | 자연풍경 | 산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393-3
- 063-630-8900
- 지리산바래봉 (철쭉군락지) - 지리산 철쭉의 백미.
소백산 비로봉, 황매산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철쭉 군락지로 꼽히는 곳으로, 매년 5월 초순에서 5월 중순까지가 절정이다. 스님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바래봉에서 팔랑치까지 약 1.5km 거리의 능선을 따라 펼쳐진 고산 초원의 여기저기에는 붉고 진한 철쭉이 군락지를 이루고 있다. 1970년대 이 일대에 양을 방목해 키웠는데, 양들이 독성이 강한 철쭉만 남기고 잡목과 풀을 모두 먹어치워 지금의 군락을 이루게 되었다고 한다. 바래봉 정상은 지리산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도 손꼽힌다. 제1코스 : 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바래봉 - 철쭉공원주차장, 5.5km, 왕복 3시간 제2코스 : 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바래봉 - 팔랑치 - 철쭉군락지 - 부운치 - 세동치 -세걸산 -전북학생수련원, 11km, 5~6시간 제3코스 : 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바래봉 - 팔랑치 - 철쭉군락지 - 산덕리(보리당), 8km, 4~5시간
[ 경부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지리산IC-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출발지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393-3 (용산마을) 전북학생수련원 : 전북 남원시 운봉읍 행정공안길 302
-
지리산뱀사골 (실비단폭포)
명승지 | 자연풍경 | 계곡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216-10
- 063-630-8900
- 지리산뱀사골 (실비단폭포) - 지리산의 대표적인 계곡.
지리산 북쪽 기슭의 토끼봉과 삼도봉 사이의 화개재에서 남원시 산내면 반선리 마을까지 뻗어 내린 12km의 깊고 아름다운 계곡이다. 계곡 곳곳에는 기암괴석과 깊은 소가 자리하고 수량도 풍부해 여름철 피서지로, 가을에는 피아골과 함께 단풍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하다. 선인대, 석실, 요룡대, 탁용소, 병소, 병풍소, 제승대, 간장소 등과 같은 명승지가 도처에 있다. 반선마을 뱀사골 탐방안내소에서 출발해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2.3km의 신선길 탐방로를 따라 가볍게 트레킹 할 수 있다. 뱀사골 입구 반선마을에서 1시간 정도를 산길로 걸어야 닿을 수 있는 오지 중 오지 마을인 와운마을의 천년송을 돌아봐도 좋다. 신선길 코스 : 반선마을→뱀사골 탐방 안내소→석실→요룡대→탁용소→뱀소→병소→요룡대→와운마을 천년송→석실→반선마을 와운마을 코스 : 반선마을→뱀사골 요룡대→와운마을→천년송→요룡대→반선마을(왕복 6㎞, 2시간 소요)
[ 남원역 앞 142번 버스, 반선마을 하차 ]
-
광한루 (광한루원)
관광지 | 문화유적 | 누각
- 전북 남원시 천거동 187-1
- 063-625-4861
- 광한루 (광한루원) - 야경이 더 아름다운 누각 정원.
밀양 영남루,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4대 누각으로 꼽힌다. 1419년 황희가 광통루라 불린 누각을 처음 올린 후 1434년 정인지가 중건하고 그 아름다움에 취해 '하늘나라 월궁의 옥경에 들어서면 광한 청허지부가 있다는 신화적 전설'을 상징하는 광한루로 이름을 붙였다. 그 뒤 정유재란에 소실되었다가 1638년 남원부사 신감이 복원했다. 오작교에서 보이는 광한루의 모습은 주변의 풍경과 어우러져 누각 건축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야경도 아름답지만 특히 연못 속에 비친 완월정의 어둠 속 반영은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오작교는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이 이루어지는 배경이 되는 곳인데, 이곳을 밟고 지나가면 부부금슬이 좋아진다는 설이 있다.
[ 남원 요천변 추어탕거리 옆 ]
-
지리산바래봉 (철쭉군락지)
명승지 | 자연풍경 | 산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393-3
- 063-630-8900
- 지리산바래봉 (철쭉군락지) - 지리산 철쭉의 백미.
소백산 비로봉, 황매산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철쭉 군락지로 꼽히는 곳으로, 매년 5월 초순에서 5월 중순까지가 절정이다. 스님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바래봉에서 팔랑치까지 약 1.5km 거리의 능선을 따라 펼쳐진 고산 초원의 여기저기에는 붉고 진한 철쭉이 군락지를 이루고 있다. 1970년대 이 일대에 양을 방목해 키웠는데, 양들이 독성이 강한 철쭉만 남기고 잡목과 풀을 모두 먹어치워 지금의 군락을 이루게 되었다고 한다. 바래봉 정상은 지리산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도 손꼽힌다. 제1코스 : 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바래봉 - 철쭉공원주차장, 5.5km, 왕복 3시간 제2코스 : 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바래봉 - 팔랑치 - 철쭉군락지 - 부운치 - 세동치 -세걸산 -전북학생수련원, 11km, 5~6시간 제3코스 : 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바래봉 - 팔랑치 - 철쭉군락지 - 산덕리(보리당), 8km, 4~5시간
[ 경부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지리산IC-지리산허브밸리(용산마을) ] 출발지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용산리 393-3 (용산마을) 전북학생수련원 : 전북 남원시 운봉읍 행정공안길 302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