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 237-3
- 055-884-2596
- 고심통숯불갈비 - 숯불에 굽는 돼지갈비가 맛있는 곳.
1955년 개업한 60여 년 전통의 노포로, 고심통 할머니가 당시 판자촌이었던 하동시장에서 정육점을 겸해 국밥과 불고기를 파는 식당으로 시작했다. 순한 맛과 매운맛을 선택할 수 있는 돼지갈비가 대표 메뉴이며, 식사 메뉴로는 사골 베이스 국물에 갈빗대가 푸짐하게 들어간 갈비탕이 인기다. 창업주 할머니의 이름을 그대로 쓴 고심통이라는 옥호는 '높은 곳으로 마음이 통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 하동경찰서 맞은편 하동반점 우측 길로 진입하면 하동시장 입구 도로변 좌측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 346
- 055-884-1580
- 금양가든 - 정갈하고 깔끔한 재첩 모둠정식.
이화가든에서 운영하는 재첩 전문점으로, 재첩국과 참게장으로 유명한 이화가든에서 10년 넘게 주방장을 지낸 전옥이 씨가 주방을 맡아 2010년 08월 개업했다. 시원하고 깔끔한 재첩국을 비롯해 재첩회와 재첩전, 얼큰한 참게장, 그리고 가자미 생선, 밑반찬 등으로 구성된 모둠정식이 대표 메뉴이며, 100% 하동 재첩만을 사용해 음식을 만든다.
[ 하동역에서 나와 군청로 0.7km → 섬진강대로 0.4km 지점, 재첩국 특화마을 내 ]
-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1087-6
- 055-882-1370
- 나루터재첩식당 - 섬진강 재첩으로 만든 재첩국이 유명한 곳.
1967년 개업, 50여 년간 섬진강 재첩으로 만든 재첩국을 전문으로 해왔다. 초벌 재첩 육수에 새로 끓인 육수를 보태가며 끓여 일정한 국물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재첩국밥, 재첩덮밥, 재첩회무침 등 다양한 재첩 요리를 취급하고 있다. 인근에도 재첩식당들이 많지만 유독 이 집만 사람들이 붐빈다. 참게탕, 메기매운탕, 은어회 등도 맛볼 수 있다.
[ 남해고속도로 하동 IC로 나와 하동 방향 첫 번째 터널 입구 옆길로 빠져나오면 섬진강변 재첩길 옆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860-2
- 055-883-5523
- 돌팀이횟집 - 참게가리장이 유명한 토속 별미집.
참게가리장이 유명한 30여 년 업력의 별미집으로, 음식이 귀한 시절 참게를 넣고 양을 늘려 여럿이 먹기 위해 밀가루를 풀어 만들던 데서 비롯된 음식이라고 한다. 참게를 끓는 물에 넣고, 참게가 익어갈 즈음 밀가루 대신 들깨가루, 콩가루, 쌀가루 등의 곡물을 넣고 걸쭉하게 끓여내 시원하면서도 구수한 맛에 매운 고추의 칼칼함과 방아잎 향이 어우러진 별미 토속 음식이다. 그 밖에도 재첩국과 재첩회, 참게장과 남해안의 싱싱한 활어 등을 선보이고 있으며, 재첩국, 재첩회, 참게장을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모둠 정식도 있다.
[ 화심리 신지마을회관 좌측 ]
-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674-5
- 055-883-2439
- 동백식당 - 참게, 은어가 전문인 화개장터의 대표 음식점.
하동 화개장터 입구에 몰려있는 참게, 은어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들 중에 첫손에 꼽히는 50여 년 업력의 참게탕, 은어회 전문점이다. 섬진강의 3대 味로 알려진 참게, 은어, 재첩이 예로부터 유명한데, 화개의 마지막 참게잡이 어부 김기영 씨가 어머니의 대를 이어 식당을 운영하고 있어 인근의 많은 참게 전문 식당들 중에 적어도 섬진강에서 직접 잡은 참게를 믿고 맛볼 수 있다. 운이 좋으면 어머니 대에서부터 전해 내려온 비법으로 만든 별미인 은어 내장젓갈과 알젓갈도 맛볼 수 있다. 1960년대 개업.
[ 화개장터 버스터미널 옆 ]
-
동흥식당 (동흥재첩국)
한식 | 민물어패류 | 재첩
- 경남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221-43
- 055-883-8333
- 동흥식당 (동흥재첩국) - 현지인들 사이에 재첩국이 유명한 곳.
1992년 1월 개업, 섬진강 인근에서 3대째 이어오고 있는 재첩요리 전문점이다. 재첩국만 시켜도 서대구이, 전어밤젓, 꼴뚜기젓, 생굴무침, 도라지무침, 매실장아찌를 비롯한 11가지의 맛깔스러운 반찬과 재첩국이 푸짐하게 차려진다. 현지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집이며 주로 재첩국과 재첩회덮밥을 가장 많이 찾는다. 포장이나 택배 판매도 한다.
[ 하동 읍내 교육청 인근, 한전 맞은편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1117-1
- 055-883-7459
- 무량원식당 - 정직한 맛의 청국장을 접할 수 있는 곳.
짚 속에서 직접 띄운 전통방식의 청국장이 유명한 집으로, 한옥을 개조한 식당에서 맛보는 소박하고 정직한 맛의 상차림이다. 다시마 국물에 부재료 없이 잘게 썬 무와 청국장만으로 단출하게 맛을 낸 담백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청국장을 중심으로 천연 양념에 손맛으로 마무리한 반찬들이 특징이다. 반찬은 리필이 안된다.
[ 하동읍에서 쌍계사 화개장터 방향으로 5분 거리에 위치 ]
-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663-2
- 055-883-4366
- 버들횟집 - 하동 화개면에 위치한 민물고기 전문점.
조업허가를 받은 주인이 화개천에서 직접 잡은 자연산 은어와 참게, 민물고기 등의 회와 구이, 매운탕이 유명한 집이다. 화개천 일대가 섬진강 수변 보호구역이라 아무나 조업할 수 없고 하동군에서 조업 허가를 받은 이 집과 개화식당, 망원대횟집 단 3곳만 화개천에서의 조업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은 대부분 양식을 사용하지만 이 집은 아직 자연산 위주의 민물고기를 즐길 수 있어 식도락 고수들의 발길이 잦은 곳이다.
[ 화개장터 농협 우측에 위치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 237-3
- 055-884-2596
- 고심통숯불갈비 - 숯불에 굽는 돼지갈비가 맛있는 곳.
1955년 개업한 60여 년 전통의 노포로, 고심통 할머니가 당시 판자촌이었던 하동시장에서 정육점을 겸해 국밥과 불고기를 파는 식당으로 시작했다. 순한 맛과 매운맛을 선택할 수 있는 돼지갈비가 대표 메뉴이며, 식사 메뉴로는 사골 베이스 국물에 갈빗대가 푸짐하게 들어간 갈비탕이 인기다. 창업주 할머니의 이름을 그대로 쓴 고심통이라는 옥호는 '높은 곳으로 마음이 통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 하동경찰서 맞은편 하동반점 우측 길로 진입하면 하동시장 입구 도로변 좌측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신기리 346
- 055-884-1580
- 금양가든 - 정갈하고 깔끔한 재첩 모둠정식.
이화가든에서 운영하는 재첩 전문점으로, 재첩국과 참게장으로 유명한 이화가든에서 10년 넘게 주방장을 지낸 전옥이 씨가 주방을 맡아 2010년 08월 개업했다. 시원하고 깔끔한 재첩국을 비롯해 재첩회와 재첩전, 얼큰한 참게장, 그리고 가자미 생선, 밑반찬 등으로 구성된 모둠정식이 대표 메뉴이며, 100% 하동 재첩만을 사용해 음식을 만든다.
[ 하동역에서 나와 군청로 0.7km → 섬진강대로 0.4km 지점, 재첩국 특화마을 내 ]
-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1087-6
- 055-882-1370
- 나루터재첩식당 - 섬진강 재첩으로 만든 재첩국이 유명한 곳.
1967년 개업, 50여 년간 섬진강 재첩으로 만든 재첩국을 전문으로 해왔다. 초벌 재첩 육수에 새로 끓인 육수를 보태가며 끓여 일정한 국물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재첩국밥, 재첩덮밥, 재첩회무침 등 다양한 재첩 요리를 취급하고 있다. 인근에도 재첩식당들이 많지만 유독 이 집만 사람들이 붐빈다. 참게탕, 메기매운탕, 은어회 등도 맛볼 수 있다.
[ 남해고속도로 하동 IC로 나와 하동 방향 첫 번째 터널 입구 옆길로 빠져나오면 섬진강변 재첩길 옆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860-2
- 055-883-5523
- 돌팀이횟집 - 참게가리장이 유명한 토속 별미집.
참게가리장이 유명한 30여 년 업력의 별미집으로, 음식이 귀한 시절 참게를 넣고 양을 늘려 여럿이 먹기 위해 밀가루를 풀어 만들던 데서 비롯된 음식이라고 한다. 참게를 끓는 물에 넣고, 참게가 익어갈 즈음 밀가루 대신 들깨가루, 콩가루, 쌀가루 등의 곡물을 넣고 걸쭉하게 끓여내 시원하면서도 구수한 맛에 매운 고추의 칼칼함과 방아잎 향이 어우러진 별미 토속 음식이다. 그 밖에도 재첩국과 재첩회, 참게장과 남해안의 싱싱한 활어 등을 선보이고 있으며, 재첩국, 재첩회, 참게장을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모둠 정식도 있다.
[ 화심리 신지마을회관 좌측 ]
-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674-5
- 055-883-2439
- 동백식당 - 참게, 은어가 전문인 화개장터의 대표 음식점.
하동 화개장터 입구에 몰려있는 참게, 은어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들 중에 첫손에 꼽히는 50여 년 업력의 참게탕, 은어회 전문점이다. 섬진강의 3대 味로 알려진 참게, 은어, 재첩이 예로부터 유명한데, 화개의 마지막 참게잡이 어부 김기영 씨가 어머니의 대를 이어 식당을 운영하고 있어 인근의 많은 참게 전문 식당들 중에 적어도 섬진강에서 직접 잡은 참게를 믿고 맛볼 수 있다. 운이 좋으면 어머니 대에서부터 전해 내려온 비법으로 만든 별미인 은어 내장젓갈과 알젓갈도 맛볼 수 있다. 1960년대 개업.
[ 화개장터 버스터미널 옆 ]
-
동흥식당 (동흥재첩국)
한식 | 민물어패류 | 재첩
- 경남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221-43
- 055-883-8333
- 동흥식당 (동흥재첩국) - 현지인들 사이에 재첩국이 유명한 곳.
1992년 1월 개업, 섬진강 인근에서 3대째 이어오고 있는 재첩요리 전문점이다. 재첩국만 시켜도 서대구이, 전어밤젓, 꼴뚜기젓, 생굴무침, 도라지무침, 매실장아찌를 비롯한 11가지의 맛깔스러운 반찬과 재첩국이 푸짐하게 차려진다. 현지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집이며 주로 재첩국과 재첩회덮밥을 가장 많이 찾는다. 포장이나 택배 판매도 한다.
[ 하동 읍내 교육청 인근, 한전 맞은편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1117-1
- 055-883-7459
- 무량원식당 - 정직한 맛의 청국장을 접할 수 있는 곳.
짚 속에서 직접 띄운 전통방식의 청국장이 유명한 집으로, 한옥을 개조한 식당에서 맛보는 소박하고 정직한 맛의 상차림이다. 다시마 국물에 부재료 없이 잘게 썬 무와 청국장만으로 단출하게 맛을 낸 담백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청국장을 중심으로 천연 양념에 손맛으로 마무리한 반찬들이 특징이다. 반찬은 리필이 안된다.
[ 하동읍에서 쌍계사 화개장터 방향으로 5분 거리에 위치 ]
-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663-2
- 055-883-4366
- 버들횟집 - 하동 화개면에 위치한 민물고기 전문점.
조업허가를 받은 주인이 화개천에서 직접 잡은 자연산 은어와 참게, 민물고기 등의 회와 구이, 매운탕이 유명한 집이다. 화개천 일대가 섬진강 수변 보호구역이라 아무나 조업할 수 없고 하동군에서 조업 허가를 받은 이 집과 개화식당, 망원대횟집 단 3곳만 화개천에서의 조업이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은 대부분 양식을 사용하지만 이 집은 아직 자연산 위주의 민물고기를 즐길 수 있어 식도락 고수들의 발길이 잦은 곳이다.
[ 화개장터 농협 우측에 위치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1106-4
- 055-882-7359
- 범바구집 - 유황소금에 찍어 먹는 범상치 않은 옻닭.
1994년 개업한 20여 년 전통의 집으로, 직접 키운 큼직한 촌닭에 옻나무 껍질 한 다발을 통째 넣고 끓인 제대로 된 옻 국물을 맛볼 수 있다. 성인 4명이 충분히 먹을 수 있는 냄비에 꽉 찬 토종닭의 크기도 만족스럽지만 옻나무 껍질을 아낌없이 넣어 비교불가한 국물의 맛을 낸다. 닭볶음탕과 추억의 닭국도 훌륭하다. 직접 담근 옻 술을 곁들여도 좋다.
[ 하동읍내에서 토지면 방면으로 섬진강변을 따라 이어진 19번 도로를 따라 직진, S-OIL 아산주유소를 지나 호암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면 우측 ]
-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952
- 055-883-4342
- 벚굴식당 - 섬진강 벚굴의 원조집.
벚굴이라는 말이 널리 알려지기 전부터 상호를 벚굴식당으로 사용한 하동의 별미집이다. 벚굴은 강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곳에서만 서식하고 있는데, 이른 봄에서 4월 말까지만 먹을 수 있다. 스쿠버 혹은 머구리 다이빙으로 강바닥을 훑으면, 굴이 서로를 의지한 채 활짝 핀 벚꽃 모양을 하고 있어 벚굴로 부르기도 하고 강에 사는 굴이라 해서 강굴로도 부른다. 매실과 감식초로 만든 초장에 찍어 먹거나 무침, 튀김, 구이로 먹는 데, 4월 말이 지나면 산란기에 접어들어 독성이 있어 대신 재첩회와 재첩국으로 영업을 한다.
[ 월진저수지 인근 ]
-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718-3
- 055-883-1866
- 설송식당 - 은어회와 황어회, 참게장을 맛볼 수 있는 별미집.
은어회, 황어회, 참게장, 재첩국 등을 맛볼 수 있는 섬진강 별미집이다. 제철에는 수박 향이 나는 자연산 은어를 머리까지 통째 맛볼 수 있으며, 벚꽃이 필 무렵 봄비가 내린 직후, 대부분의 일생을 바다에서 보내고 알을 낳기 위해 강으로 돌아오는 회귀성 어종으로 강원도에서는 '황사리', 경북에서는 '밀하'로 불리는 흔하지 않은 황어를 회로 접할 수 있다. 참게장과 재첩요리도 인기다.
[ 구 화개장터길 초입에 위치 ]
-
여여식당 (如如식당)
한식 | 민물어패류 | 재첩
- 경남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223-6
- 055-884-0080
- 여여식당 (如如식당) - 섬진강 명물인 재첩국을 잘하는 곳.
1994년 개업한 재첩요리 전문점으로, 100% 섬진강 재첩만을 고집해 하동에서도 재첩국을 잘 하는 집으로 소문난 곳이다. 주인 박우경 씨의 깔끔하고 잡내 없는 재첩국 비법과 아내 이귀순 씨의 손맛이 밴 맛깔스러운 반찬이 차려지는 제대로 된 재첩국 상차림을 받아 볼 수 있다. 재첩회무침을 시켜 하동에서 만든 지리산 녹차소주를 곁들여도 좋다.
[ 하동경찰서를 끼고 우측으로 돌아 하동초등학교를 지나서 200m 직진 길 건너편에 위치 ]
-
원조강변할매재첩회식당
한식 | 민물어패류 | 재첩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1087-1
- 055-882-1369
- 원조강변할매재첩회식당 - 섬진강 재첩국의 원조집.
1980년 개업, 섬진강 인근에서 재첩국을 처음 시작한 40여 년 업력의 원조집이다. 재첩요리를 비롯해 참게요리를 잘하는 곳으로도 소문난 곳이며, 부추를 듬뿍 넣은 시원하고 담백한 재첩국, 재첩을 깔고 채 썬 사과, 배, 오이 위에 둥글게 초고추장을 뿌려 쌈 채소와 함께 나오는 재첩회, 풋고추와 붉은 고추로 멋을 부린 참게장, 산초 향이 강한 참게탕, 수박 향이 은은한 은어회 등을 맛볼 수 있다.
[ 남해고속도로 하동 IC에서 2.5㎞ 거리에 위치 ]
-
- 경남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849-1
- 055-884-0075
- 이화가든 - 참게탕과 참게장이 맛있는 곳.
1995년 04월 개업한 참게 전문점으로, 섬진강의 싱싱한 재료들로 꾸민 맛깔스런 한상 차림을 선보인다. 참게탕과 참게가리장이 대표 메뉴이며, 다양한 재첩요리와 참게장이 함께 나오는 모둠정식이 별미로 꼽힌다. 제첩국 특화마을의 재첩 전문점인 금양가든도 같이 운영하고 있다.
[ 신지마을회관 좌측 ]
-
장터국밥 (화개장터국밥)
한식 | 국물요리 | 소고기국밥
-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755-1
- 055-884-1008
- 장터국밥 (화개장터국밥) - 하동에서 소고기국밥이 유명한 곳.
해방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5대 전통시장 중 하나인 화개장터 안에 위치한 국밥집으로, 무, 콩나물이 들어간 맑고 시원한 소고기국밥과 돼지국밥을 전문으로 한다. 국밥 외에도 재첩국, 재첩회덮밥, 재첩칼국수 등 재첩 음식이 인기며, 산채비빔밥과 강된장비빔밥도 많이 찾는다. 2000년 개업.
[ 화개장터 팔각정 앞 ]
-
하동팔팔민물장어구이
한식 | 민물어패류 | 장어
- 경남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378-5
- 055-884-6724
- 하동팔팔민물장어구이 - 민물장어구이와 장어탕이 유명한 곳.
민물장어구이와 장어탕을 맛볼 수 있는 곳으로,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상추, 깻잎, 쑥갓 등 쌈 채소에 고소하고 담백한 민물장어 소금구이, 양념구이를 올려 쌈으로 싸서 먹는 맛이 일품이다. 장어정식을 주문하면 장어구이 180g에 장어탕이 따라 나오며, 장어구이는 2인분 500g으로 넉넉한 양이 매력이다. 간혹 장어가 품절될 수 있어 전화로 확인 후 방문하는 편이 좋다. 장어 포장, 장어 진액 등을 택배 판매도 한다.
[ 남해고속도로 하동 IC에서 하동 구래 방향 1.6km 정도 고남초등학교 옆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