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 055-934-3000
- 가야산해인사 - 팔만대장경과 가을 단풍.
신라 애장왕 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승려 순응과 이정이 창건했으며, 불(佛), 법(法), 승(僧) 불교의 삼보 가운데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을 담고 있는 법보사찰이다. 불보사찰 통도사, 승보사찰 송광사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사찰로 꼽히는 곳이며, 몽골이 침입하자 부처의 힘으로 몽골군을 물리치기 위해 만든 팔만대장경(국보 제32호인 대장경판과 제52호인 대장경판고)을 봉안하고 있다. 해인사가 자리 잡은 가야산의 단풍이 물드는 10월이 여행 최적기이며, 해인사 아래 홍류동 계곡을 따라 이어진 6km 구간의 '가야산 소리길'을 트레킹해도 좋다.
[ 88고속도로 해인사IC → 1084번 지방도 → 59번국도 → 해인사 ]
-
가야산소리길
명승지 | 자연풍경 | 트레킹코스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 055-934-3000
- 가야산소리길 - 로제 샹바르가 잊지 못한 트레킹 코스.
가야산 아래 팔만대장경을 모신 해인사와 그 아래 홍류동 계곡을 따라 이어진 6km 구간의 트레킹 코스다. 붉게 물든 가을 단풍이 흐르는 물에 붉게 투영되어 흐른다 하여 홍류동 계곡이라 불렀으며, 소리길의 소리(蘇利)는 '이로운 것을 깨닫다'로 풀이한다. 불가에서는 이로운 것을 깨달아 극락으로 간다는 의미로 사용한다고 한다. 용의 비늘 모양을 한 작은 바위들 사이로 폭포수가 시원하게 떨어져 내리는 용문폭포를 지나 연못에 떨어진 꽃잎이 쉽게 떠나지 못한다 하여 붙여진 낭만적인 이름의 낙화담에는 실제로 이곳을 쉽게 떠나지 못해 하던 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다. 1959년 한국에 왔다가 10년을 머문 고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프랑스 대사 로제 샹바르가 팔만대장경을 품고 있는 해인사와 홍류동 계곡을 잊지 못하다가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유골을 그곳에 뿌려 달라고 유언해, 1982년 5월 7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자 같은 해 8월 그의 유해가 홍류동 계곡에 뿌려졌다고 한다. 대장경테마파크-소리길탐방지원센터-농산정-길상암-영산교. 총 거리 6km, 소요시간 : 약 2시간 30분
[ 88고속도로 해인사IC → 1084번 지방도 → 59번국도 → 해인사 ]
-
- 경남 합천군 묘산면 반포리 산 3-7
- 055-930-3533
- 오도산 - 차박의 성지이자 사진작가들 즐겨 찾는 곳.
합천과 거창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1134m의 오도산은 북동쪽의 두무산, 북쪽의 비계산, 남서쪽의 숙성산 등과 함께 가야산의 기슭을 이룬다. 한국 표범의 마지막 서식지이자 1982년 KT가 오도산 정상을 약 13m나 깎아내고 중계소를 건설하면서 그때 만든 임도를 이용해 일반 승용차로 정상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차박의 성지로 손꼽힌다. 사방으로 탁 트인 조망으로 일출과 일몰, 산을 타고 넘는 운해가 환상적이며, 8월~10월엔 전국에서 찾아오는 사진작가들로 붐비기도 한다.
[ 묘산초등학교와 묘산우체국에서 묘산로를 따라 진행하다 오도산길로 우회전 후 산길을 따라 직진 ]
-
-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산 219-11
- 055-932-5880
- 황매산 (黃梅山 합천) - 국내 3대 철쭉 군락지.
지리산 바래봉, 소백산 비로봉과 더불어 환상적인 철쭉 군락지로 유명하다. 합천호에 하봉, 중봉, 상봉의 산 그림자가 잠기면 세 송이의 매화꽃이 물에 잠긴 것 같다고 하여 수중매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정상에는 국내 제일의 명당자리로 알려진 무지개터가 있고, 바로 아래에 넓게 펼쳐진 황매평전은 목장 지대와 고산 철쭉 군락지가 있어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이 산록을 분홍빛으로 수놓고, 가을에는 억새와 들국화가 촛불을 밝힌 듯 흰 꽃을 피운다. 철쭉은 4월 하순과 5월 초순에 절정을 이룬다. 산 주위에 대도시가 없어 빛이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정상 부근의 주차장에 주차하고 10분 정도 올라가면 어디서나 선명하고 아름다운 은하수와 별을 관찰할 수 있다.
[ 88고속도로 거창IC→24번 국도→59번 국도→1089번 지방도→대병면에서 우회전→황매산 안내소에서 우회전→목장길 2.8km→주차장 ] 정상부근 공원주차장 :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공원길 331 (둔내리 산219-11)
-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 055-934-3000
- 가야산해인사 - 팔만대장경과 가을 단풍.
신라 애장왕 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승려 순응과 이정이 창건했으며, 불(佛), 법(法), 승(僧) 불교의 삼보 가운데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을 담고 있는 법보사찰이다. 불보사찰 통도사, 승보사찰 송광사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사찰로 꼽히는 곳이며, 몽골이 침입하자 부처의 힘으로 몽골군을 물리치기 위해 만든 팔만대장경(국보 제32호인 대장경판과 제52호인 대장경판고)을 봉안하고 있다. 해인사가 자리 잡은 가야산의 단풍이 물드는 10월이 여행 최적기이며, 해인사 아래 홍류동 계곡을 따라 이어진 6km 구간의 '가야산 소리길'을 트레킹해도 좋다.
[ 88고속도로 해인사IC → 1084번 지방도 → 59번국도 → 해인사 ]
-
가야산소리길
명승지 | 자연풍경 | 트레킹코스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 055-934-3000
- 가야산소리길 - 로제 샹바르가 잊지 못한 트레킹 코스.
가야산 아래 팔만대장경을 모신 해인사와 그 아래 홍류동 계곡을 따라 이어진 6km 구간의 트레킹 코스다. 붉게 물든 가을 단풍이 흐르는 물에 붉게 투영되어 흐른다 하여 홍류동 계곡이라 불렀으며, 소리길의 소리(蘇利)는 '이로운 것을 깨닫다'로 풀이한다. 불가에서는 이로운 것을 깨달아 극락으로 간다는 의미로 사용한다고 한다. 용의 비늘 모양을 한 작은 바위들 사이로 폭포수가 시원하게 떨어져 내리는 용문폭포를 지나 연못에 떨어진 꽃잎이 쉽게 떠나지 못한다 하여 붙여진 낭만적인 이름의 낙화담에는 실제로 이곳을 쉽게 떠나지 못해 하던 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다. 1959년 한국에 왔다가 10년을 머문 고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프랑스 대사 로제 샹바르가 팔만대장경을 품고 있는 해인사와 홍류동 계곡을 잊지 못하다가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유골을 그곳에 뿌려 달라고 유언해, 1982년 5월 7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자 같은 해 8월 그의 유해가 홍류동 계곡에 뿌려졌다고 한다. 대장경테마파크-소리길탐방지원센터-농산정-길상암-영산교. 총 거리 6km, 소요시간 : 약 2시간 30분
[ 88고속도로 해인사IC → 1084번 지방도 → 59번국도 → 해인사 ]
-
- 경남 합천군 묘산면 반포리 산 3-7
- 055-930-3533
- 오도산 - 차박의 성지이자 사진작가들 즐겨 찾는 곳.
합천과 거창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1134m의 오도산은 북동쪽의 두무산, 북쪽의 비계산, 남서쪽의 숙성산 등과 함께 가야산의 기슭을 이룬다. 한국 표범의 마지막 서식지이자 1982년 KT가 오도산 정상을 약 13m나 깎아내고 중계소를 건설하면서 그때 만든 임도를 이용해 일반 승용차로 정상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차박의 성지로 손꼽힌다. 사방으로 탁 트인 조망으로 일출과 일몰, 산을 타고 넘는 운해가 환상적이며, 8월~10월엔 전국에서 찾아오는 사진작가들로 붐비기도 한다.
[ 묘산초등학교와 묘산우체국에서 묘산로를 따라 진행하다 오도산길로 우회전 후 산길을 따라 직진 ]
-
-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산 219-11
- 055-932-5880
- 황매산 (黃梅山 합천) - 국내 3대 철쭉 군락지.
지리산 바래봉, 소백산 비로봉과 더불어 환상적인 철쭉 군락지로 유명하다. 합천호에 하봉, 중봉, 상봉의 산 그림자가 잠기면 세 송이의 매화꽃이 물에 잠긴 것 같다고 하여 수중매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정상에는 국내 제일의 명당자리로 알려진 무지개터가 있고, 바로 아래에 넓게 펼쳐진 황매평전은 목장 지대와 고산 철쭉 군락지가 있어 봄에는 진달래와 철쭉이 산록을 분홍빛으로 수놓고, 가을에는 억새와 들국화가 촛불을 밝힌 듯 흰 꽃을 피운다. 철쭉은 4월 하순과 5월 초순에 절정을 이룬다. 산 주위에 대도시가 없어 빛이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정상 부근의 주차장에 주차하고 10분 정도 올라가면 어디서나 선명하고 아름다운 은하수와 별을 관찰할 수 있다.
[ 88고속도로 거창IC→24번 국도→59번 국도→1089번 지방도→대병면에서 우회전→황매산 안내소에서 우회전→목장길 2.8km→주차장 ] 정상부근 공원주차장 : 경남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공원길 331 (둔내리 산219-11)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