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산 (高麗山)
명승지 | 자연풍경 | 트레킹코스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547
- 032-930-3515
- 고려산 (高麗山) - 낙조가 아름다운 수도권 최고의 진달래 명소.
수도권에서 진달래 군락지로 유명한 산이다. 일반적으로 진달래가 대개 평지나 얕은 산에서 피는 것과는 달리 고려산 진달래는 해발 436m 정상과 7부 능선 이상에서 군락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매년 4월 정상에서 능선 북사면을 따라 355봉까지 약 1㎞ 구간에 걸쳐 진달래로 붉게 물든다. 416년(고구려 장수왕 4년), 인도의 고승 천축조사가 고려산에서 절터를 찾던 중 다섯 색상의 연꽃이 피어 있는 오련지를 발견하였는데, 이 연꽃들을 하늘에 날려 이들이 떨어진 곳에 적련사(적석사), 백련사, 청련사, 황련사, 흑련사를 각각 세웠다고 한다. 고려산에는 적석사, 청련사, 백련사가 있으며, 적석사 위 낙조봉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강화 팔경 중의 하나로 꼽힌다. 1코스(백련사) : 고인돌광장 - 백련사 - 고려산 정상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3.7km, 1시간 20분 소요) 주소 :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 (하점면 부근리 809) 2코스(청련사) : 국화리 마을회관 - 청련사 - 고려산 정상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2.9km, 1시간 소요) 주소 :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 188 (강화읍 국화리 599-2) 3코스(고비고개) : 고비고개 - 고려산 정상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2.4km, 1시간 소요) 주소 : 강화군 내가면 고천리 산145-1 4코스(적석사) : 고천리 마을회관 - 적석사 - 낙조봉 - 고인돌군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5.2km, 1시간 50분 소요) 주소 : 강화군 내가면 연촌길8 (내가면 고천리 253) 5코스(미꾸지고개) : 미꾸지고개 - 낙조봉 - 고인돌군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5.8km, 2시간 소요) 주소 : 강화군 하점면 강화서로 511 (하점면 망월리 371-1)
[ 강화대교→서문 삼거리에서 고천리 방면 좌회전→국화리에서 청련사 방면 우회전 ] 청련사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188번길 112 ( 국화리 550) 032-933-3886(청련사)

-
-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872
- 민머루해수욕장 -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수도권 해수욕장.
강화도의 서편 바다에 위치한 작은 섬인 석모도에 위치한 해변이다. 해수욕과 갯벌체험이 가능하고 환상적인 낙조를 볼 수 있어 당일 나들이 장소로 인기이며, 특히 세계적인 희귀 새인 저어새의 서식지로 유명해 사진작가들의 촬영 장소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길이 약 1km 정도의 백사장이 있으며 물이 빠지면 약 1km 정도의 갯벌이 나타나는데,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시간대의 밀물 시에는 해수욕, 한낮 썰물 시에는 갯벌에 사는 여러 가지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매년 7월이면 광활한 갯벌을 붉게 물들이며 곱게 펼쳐진 해홍나물 군락지가 바로 옆 인근 해안 도로변에 있다. 인근 보문사와 미네랄온천을 방문해도 좋다.
[ 강화도에서 석모대교 건너서 좌회전 후 직진, 해명초등학교 지나 매음리에서 좌회전 후 직진 ]
-
동막해변 (동막해수욕장)
명승지 | 자연풍경 | 해변
- 인천 강화군 화도면 동막리 7
- 032-937-4445
- 동막해변 (동막해수욕장) - 강화도의 유일한 해수욕장.
백사장과 수백 년 묵은 울창한 송림이 있는 강화도 본섬의 유일한 해수욕장이자 물이 빠지면 직선 4km까지 1천8백만평의 드넓은 갯벌이 펼쳐지는 해변이다.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시간대의 밀물 시에는 해수욕장, 한낮 썰물 시에는 갯벌에 사는 여러 가지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인근 분오리돈대에 오르면 강화의 남단갯벌이 한눈에 들어오고 멀리 인천국제공항도 보인다.
[ 외곽순환고속도로 김포나들목→김포시(48번 국도)→강화대교→강화읍(84번 지방도)→전등사 앞→정수사 입구→동막리 ]
-
보문사 (普門寺)
관광지 | 문화유적 | 사찰
-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629
- 032 933 8271
- 보문사 (普門寺) - 3대 해양 관음영지.
신라 선덕여왕 4년(635년) 회전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양양 낙산사 홍련암, 남해 보리암과 함께 3대 관음영지 중 하나로 꼽힌다. 창건한지 14년만인 649년 부처님과 미륵보살 등 스물 두 개의 석상을 바다에서 건져 올려 모신 석굴 법당인 나한전에서 기도를 하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하여, 일명 신통굴로 불리기도 한다. 높이 9.2m, 폭 3.3m의 마애석불좌상, 길이 40m, 폭 5m의 큰 바위인 천인대도 볼거리다.
[ 강화도에서 석모대교 건너서 좌회전 후 직진하다 보문사 이정표를 따라 우회전 ]
-
교동도 (대룡시장)
관광지 | 핫플레이스 | 전통거리
-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리 573
- 032-930-4500
- 교동도 ( 대룡시장) - 시간이 멈추어 선 섬.
원래의 이름은 대운도로 신라 경덕왕 때 교동현이라 한 것이 오늘에 이른다. 1960~70년대 풍경을 고스란히 간직한 대룡시장 골목을 돌아보며 아날로그 감성을 만끽할 수 있다. 400미터 남짓의 골목에는 낡고 정겨운 옛 간판을 그대로 단 상점들이 마치 영화 세트장 같은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2014년 강화도와 잇는 교동대교가 개통되면서 자동차로도 여행이 가능해졌으며, 불과 5km의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대치하고 있어 황해도 연백군이 눈앞에 보인다. 교동대교 진입하기 전 헌병대에 신분증을 제시하고 방문증을 받아야 방문할 수 있다. 6.25 때 황해도 연백에서 피난 온 피난민들이 주로 사는 대룡시장 주변으로 집집마다 처마 밑에 제비집이 많은데, 황해도 연백에서 내려온 고향 제비라 여기고 귀한 손님으로 부른다고 한다. 또한 교동도는 고려 21대 희종, 22대 강종, 30대 충정왕, 32대 우왕, 33대 창왕 등 5명의 왕과 희대의 폭군인 연산군을 비롯 해 광해군, 경안군, 숭선군, 임창군, 임성군, 복평군, 은연군, 영선군, 안평대군, 능창대군 등 폐군과 왕족의 유배지로도 유명하다.
[ 강화읍 버스터미널에서 창후리행 버스→월선포 선착장에서 마을버스→ 대룡리 사거리 하차→ 고구리 방향 도보 200m ] 대룡시장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교동남로 35 ( 대룡리 573) 공영주차장 :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리 466-17
-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산 233
- 032-933-3300
- 화개산모노레일 - 화개산전망대를 왕복하는 모노레일.
화개정원에서 화개산전망대까지 상, 하행 2km 구간을 왕복하는 모노레일이다. 연산군 유배지 아래쪽 승강장에서 출발해 느릿느릿 오르는 모노레일을 타고 화개산 정상으로 향하는 동안 화개정원을 내려다볼 수 있으며, 화개산 정상의 스카이워크 전망대에서는 강화도 주변 섬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서해바다와 한강하구, 북녘땅을 흐르는 예성강을 따라 펼쳐진 연백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대룡시장에서 자동차 5분 거리, 화개산 화개정원, 연산군 유배지 아래쪽 승강장 ]
-
화개산전망대 (화개정원)
명승지 | 자연풍경 | 전망대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산 233
- 032-932-2336
- 화개산전망대 (화개정원) - 바다 위 DMZ에 자리한 스카이워크 전망대.
북녘땅과 맞닿은 교동도의 화개산 정상 해발 259m에 들어선 스카이워크 전망대로, 저어새의 긴 부리와 눈을 형상화해 화려하고 웅장한 조형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한강하구와 북녘땅을 흐르는 예성강을 따라 펼쳐진 연백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남으로는 서검도, 미법도, 석모도 등의 강화도 주변 섬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화개정원에서 출발해 정상까지 왕복하는 모노레일을 타고 편하게 오를 수 있다. 2022년 11월 개장.화개산 일대 21만3251㎡의 면적에 화개정원, 스카이워크 전망대, 모노레일(민자), 주차장 등을 조성하고 2022년 11월 개장했다.
[ 대룡시장에서 자동차 5분 거리, 화개정원에서 모노레일을 타고 오르면 화개산 정상에 위치 ]
-
고려산 (高麗山)
명승지 | 자연풍경 | 트레킹코스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547
- 032-930-3515
- 고려산 (高麗山) - 낙조가 아름다운 수도권 최고의 진달래 명소.
수도권에서 진달래 군락지로 유명한 산이다. 일반적으로 진달래가 대개 평지나 얕은 산에서 피는 것과는 달리 고려산 진달래는 해발 436m 정상과 7부 능선 이상에서 군락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매년 4월 정상에서 능선 북사면을 따라 355봉까지 약 1㎞ 구간에 걸쳐 진달래로 붉게 물든다. 416년(고구려 장수왕 4년), 인도의 고승 천축조사가 고려산에서 절터를 찾던 중 다섯 색상의 연꽃이 피어 있는 오련지를 발견하였는데, 이 연꽃들을 하늘에 날려 이들이 떨어진 곳에 적련사(적석사), 백련사, 청련사, 황련사, 흑련사를 각각 세웠다고 한다. 고려산에는 적석사, 청련사, 백련사가 있으며, 적석사 위 낙조봉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강화 팔경 중의 하나로 꼽힌다. 1코스(백련사) : 고인돌광장 - 백련사 - 고려산 정상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3.7km, 1시간 20분 소요) 주소 : 강화군 하점면 강화대로 994-19 (하점면 부근리 809) 2코스(청련사) : 국화리 마을회관 - 청련사 - 고려산 정상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2.9km, 1시간 소요) 주소 :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 188 (강화읍 국화리 599-2) 3코스(고비고개) : 고비고개 - 고려산 정상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2.4km, 1시간 소요) 주소 : 강화군 내가면 고천리 산145-1 4코스(적석사) : 고천리 마을회관 - 적석사 - 낙조봉 - 고인돌군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5.2km, 1시간 50분 소요) 주소 : 강화군 내가면 연촌길8 (내가면 고천리 253) 5코스(미꾸지고개) : 미꾸지고개 - 낙조봉 - 고인돌군 - 진달래군락지. (총 거리 5.8km, 2시간 소요) 주소 : 강화군 하점면 강화서로 511 (하점면 망월리 371-1)
[ 강화대교→서문 삼거리에서 고천리 방면 좌회전→국화리에서 청련사 방면 우회전 ] 청련사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188번길 112 ( 국화리 550) 032-933-3886(청련사)

-
-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872
- 민머루해수욕장 -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수도권 해수욕장.
강화도의 서편 바다에 위치한 작은 섬인 석모도에 위치한 해변이다. 해수욕과 갯벌체험이 가능하고 환상적인 낙조를 볼 수 있어 당일 나들이 장소로 인기이며, 특히 세계적인 희귀 새인 저어새의 서식지로 유명해 사진작가들의 촬영 장소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길이 약 1km 정도의 백사장이 있으며 물이 빠지면 약 1km 정도의 갯벌이 나타나는데,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시간대의 밀물 시에는 해수욕, 한낮 썰물 시에는 갯벌에 사는 여러 가지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매년 7월이면 광활한 갯벌을 붉게 물들이며 곱게 펼쳐진 해홍나물 군락지가 바로 옆 인근 해안 도로변에 있다. 인근 보문사와 미네랄온천을 방문해도 좋다.
[ 강화도에서 석모대교 건너서 좌회전 후 직진, 해명초등학교 지나 매음리에서 좌회전 후 직진 ]
-
동막해변 (동막해수욕장)
명승지 | 자연풍경 | 해변
- 인천 강화군 화도면 동막리 7
- 032-937-4445
- 동막해변 (동막해수욕장) - 강화도의 유일한 해수욕장.
백사장과 수백 년 묵은 울창한 송림이 있는 강화도 본섬의 유일한 해수욕장이자 물이 빠지면 직선 4km까지 1천8백만평의 드넓은 갯벌이 펼쳐지는 해변이다.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시간대의 밀물 시에는 해수욕장, 한낮 썰물 시에는 갯벌에 사는 여러 가지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인근 분오리돈대에 오르면 강화의 남단갯벌이 한눈에 들어오고 멀리 인천국제공항도 보인다.
[ 외곽순환고속도로 김포나들목→김포시(48번 국도)→강화대교→강화읍(84번 지방도)→전등사 앞→정수사 입구→동막리 ]
-
보문사 (普門寺)
관광지 | 문화유적 | 사찰
-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629
- 032 933 8271
- 보문사 (普門寺) - 3대 해양 관음영지.
신라 선덕여왕 4년(635년) 회전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양양 낙산사 홍련암, 남해 보리암과 함께 3대 관음영지 중 하나로 꼽힌다. 창건한지 14년만인 649년 부처님과 미륵보살 등 스물 두 개의 석상을 바다에서 건져 올려 모신 석굴 법당인 나한전에서 기도를 하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하여, 일명 신통굴로 불리기도 한다. 높이 9.2m, 폭 3.3m의 마애석불좌상, 길이 40m, 폭 5m의 큰 바위인 천인대도 볼거리다.
[ 강화도에서 석모대교 건너서 좌회전 후 직진하다 보문사 이정표를 따라 우회전 ]
-
교동도 (대룡시장)
관광지 | 핫플레이스 | 전통거리
-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리 573
- 032-930-4500
- 교동도 ( 대룡시장) - 시간이 멈추어 선 섬.
원래의 이름은 대운도로 신라 경덕왕 때 교동현이라 한 것이 오늘에 이른다. 1960~70년대 풍경을 고스란히 간직한 대룡시장 골목을 돌아보며 아날로그 감성을 만끽할 수 있다. 400미터 남짓의 골목에는 낡고 정겨운 옛 간판을 그대로 단 상점들이 마치 영화 세트장 같은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2014년 강화도와 잇는 교동대교가 개통되면서 자동차로도 여행이 가능해졌으며, 불과 5km의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대치하고 있어 황해도 연백군이 눈앞에 보인다. 교동대교 진입하기 전 헌병대에 신분증을 제시하고 방문증을 받아야 방문할 수 있다. 6.25 때 황해도 연백에서 피난 온 피난민들이 주로 사는 대룡시장 주변으로 집집마다 처마 밑에 제비집이 많은데, 황해도 연백에서 내려온 고향 제비라 여기고 귀한 손님으로 부른다고 한다. 또한 교동도는 고려 21대 희종, 22대 강종, 30대 충정왕, 32대 우왕, 33대 창왕 등 5명의 왕과 희대의 폭군인 연산군을 비롯 해 광해군, 경안군, 숭선군, 임창군, 임성군, 복평군, 은연군, 영선군, 안평대군, 능창대군 등 폐군과 왕족의 유배지로도 유명하다.
[ 강화읍 버스터미널에서 창후리행 버스→월선포 선착장에서 마을버스→ 대룡리 사거리 하차→ 고구리 방향 도보 200m ] 대룡시장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교동남로 35 ( 대룡리 573) 공영주차장 : 인천 강화군 교동면 대룡리 466-17
-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산 233
- 032-933-3300
- 화개산모노레일 - 화개산전망대를 왕복하는 모노레일.
화개정원에서 화개산전망대까지 상, 하행 2km 구간을 왕복하는 모노레일이다. 연산군 유배지 아래쪽 승강장에서 출발해 느릿느릿 오르는 모노레일을 타고 화개산 정상으로 향하는 동안 화개정원을 내려다볼 수 있으며, 화개산 정상의 스카이워크 전망대에서는 강화도 주변 섬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서해바다와 한강하구, 북녘땅을 흐르는 예성강을 따라 펼쳐진 연백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대룡시장에서 자동차 5분 거리, 화개산 화개정원, 연산군 유배지 아래쪽 승강장 ]
-
화개산전망대 (화개정원)
명승지 | 자연풍경 | 전망대
- 인천 강화군 교동면 고구리 산 233
- 032-932-2336
- 화개산전망대 (화개정원) - 바다 위 DMZ에 자리한 스카이워크 전망대.
북녘땅과 맞닿은 교동도의 화개산 정상 해발 259m에 들어선 스카이워크 전망대로, 저어새의 긴 부리와 눈을 형상화해 화려하고 웅장한 조형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한강하구와 북녘땅을 흐르는 예성강을 따라 펼쳐진 연백평야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남으로는 서검도, 미법도, 석모도 등의 강화도 주변 섬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화개정원에서 출발해 정상까지 왕복하는 모노레일을 타고 편하게 오를 수 있다. 2022년 11월 개장.화개산 일대 21만3251㎡의 면적에 화개정원, 스카이워크 전망대, 모노레일(민자), 주차장 등을 조성하고 2022년 11월 개장했다.
[ 대룡시장에서 자동차 5분 거리, 화개정원에서 모노레일을 타고 오르면 화개산 정상에 위치 ]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른 검색어를 시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