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 동구 충장로3가 31-7
- 062-222-2210
- 1960청원모밀 - 광주식 마른메밀이 유명한 곳.
1960년 개업한 60여 년 업력의 노포로, 광주식 마른메밀의 원조집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梨)식당이 기술을 전수하고 이민을 떠났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화신모밀의 주인이 오랫동안 주방을 맡기도 했었다. 광주식 마른메밀과 멸치육수에 파, 김가루, 튀김 알갱이가 들어 간 메밀국수를 비롯해 다른 지방에는 없는 메밀짜장이 특색이 있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1번 출구에서 166m ]
-
- 광주 동구 학동 74-24
- 062-225-1532
- 고향의맛순대국밥 - 광주에서 암뽕순대가 유명한 곳.
암뽕에 돼지 피와 콩나물, 야채 등으로 속을 채워 묵직함과 쫄깃함이 일품인 암뽕순대로 잘 알려진 집이다. 머리고기, 새끼보, 내장 등의 돼지 부산물에 암뽕순대와 찰순대를 올리고 살짝 데친 부추를 얹어서 내는 남광주시장 수육 스타일의 특모둠은 안주용으로, 식사용으로는 다양한 부위를 섞은 종합국밥을 주로 찾는다. 원래 주인은 이 집을 아들에게 물려주고 두암동에 내고향국밥이란 상호로 새로 가게를 열었다.
[ 남광주역 3번 출구로 나와 전대병원 응급실앞 삼거리에서 좌회전하면 우측 ]
-
- 광주 동구 충장로1가 1-9
- 062-222-3477
- 궁전제과 (본점) - 광주를 대표하는 노포 베이커리.
1973년 개업한 전통 있는 빵집으로, 나비 날개 모양의 겹겹이 붙은 패스트리에 달콤한 시럽이 올라간 나비파이, 바게트의 속을 파낸 뒤 감자 달걀 등이 버무려진 샐러드를 채워 넣은 공룡알빵이 인기다. 오래된 빵집이지만 톡톡 튀는 독창적인 베이커리류와 작고 예쁜 케이크, 타르트, 수제 초콜릿 등 현대적인 트렌드의 제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여름에는 팥빙수도 인기라고 한다.
[ 1호선 문화전당역 3번 출구로 나와 스타벅스 옆 골목 ]
-
- 광주 동구 금남로5가 168
- 062-224-1900
- 꽃담 - 육회와 육회 비빔밥이 맛있는 곳.
1958년 명식당을 시작으로 3대째 60여 년 전통을 잇는 노포로, 30여 년 전 당시 광주에서는 생소한 생고기 메뉴를 대중화시킨 집으로 유명하다. 비교적 저렴한 부위인 설두를 양념에 묻힌 육회와 아삭한 채소가 육회와 어우러진 육회 비빔밥이 대표 메뉴이며, 한우 등심 중에서도 최고급 부위로 부드럽게 살살 녹는 새우살, 진한 육향과 쫄깃한 식감이 일품인 안창살 등의 특수부위도 맛볼 수 있다. 소쿠리에 9가지의 정갈하고 맛깔진 반찬이 나오며, 반찬 중에서도 멸치젓과 통영산 굴이 어우러진 생김치가 맛있기로도 유명하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3번 출구로 나와 뒤돌아 밀알신협 옆 골목으로 좌회전, 쓰달쇼핑센터 맞은편 ]
-
- 광주 동구 대인동 307-38
- 062-224-6943
- 나주식당 - 가성비 최강의 국밥과 순대 모둠.
대인시장 국밥 골목에 위치한 순댓국집으로, 국밥 2그릇을 주문하면 어마어마한 양의 순대 모둠이 서비스로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맑고 담백한 국밥은 맑고 담백하면서도 콩나물이 들어가 시원한 맛이 일품이며, 잡내 없이 잘 삶은 다양한 부위의 내장들과 찰순대를 담고 들깨가루를 뿌리고 부추로 마무리한 순대 모둠은 술안주로도 그만이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3번 출구에서 622m, 대인시장 국밥골목 내 ]
-
남양회관 (구 남양통닭)
한식 | 가금류 | 닭
- 광주 동구 충장로4가 36-4
- 062-223-8011
- 남양회관 (구 남양통닭) - 한시대를 풍미한 50여 년 전통의 전기구이 통닭집.
1968년 충무로 영양센타의 분점 형식으로 출발한 50여 년 전통의 전기구이 통닭집이다. 현지인들에겐 원래 이름인 남양통닭으로 더 유명하며, 껍질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고 촉촉한 전기구이 통닭과 삼계탕이 대표 메뉴이다. 1975년 외래어 사용 금지로 인해 남양통닭으로 변경해 영업하다가 10여 년 전 리모델링하면서 삼계탕, 오리탕, 육개장 등의 식사 메뉴를 추가해 남양회관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현재는 닭칼국수가 주력이다.
[ 금남로4가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우회전, 충장치안센터 맞은편 골목으로 들어간 후 좌회전 ]
-
- 광주 동구 학동 262-12
- 062-234-5673
- 데이지 (Daisy 본점) - 전병에 싸 먹는 이색 돈가스 쌈밥.
20여 년 업력의 퓨전 돈가스 전문점으로, 전병에 쌈무와 돈가스, 각종 채소를 올리고 돌돌 말아서 소스에 찍어 먹는 쌈 돈가스 원조집이다. 쌈돈가스와 알밥, 미소된장국이 나오는 데이지정식이 인기이며, 소스에 들어갈 통깨를 직접 갈아 소스에 섞어서 먹는다. 단품으로 돈가스를 시킬 수도 있으며, 사이드 메뉴로 치킨 또띠아도 추천할 만하다.
[ 광주창의융합교육원 맞은편, 학동금호베스트빌 우측 ]
-
라롱드꺄레 (La Ronde Carrée)
양식 | 프랑스식
- 광주 동구 운림동 661-12
- 062-232-3375
- 라롱드꺄레 (La Ronde Carrée) - 갤러리 분위기의 프렌치 레스토랑.
클래식 프렌치를 기반으로 비스트로노미를 지향하는 프렌치 레스토랑으로, 세계 3대 요리학교인 르 꼬르동 블루 출신으로 파리의 미슐랭 3스타 라스트렁스(L’astrance)에서 경력을 쌓은 김현우 오너 셰프가 오픈한 곳이다. 아뮤즈 부시를 포함해서 8코스로 구성된 디너 코스가 인기이며, 지역의 제철 재료를 활용해 철마다 바뀌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메뉴 구성, 디저트, 와인 페어링까지 만족도가 높다. 2019년 개업.
[ 학운초등학교 체육관 도로 건너편 ]
-
- 광주 동구 충장로3가 31-7
- 062-222-2210
- 1960청원모밀 - 광주식 마른메밀이 유명한 곳.
1960년 개업한 60여 년 업력의 노포로, 광주식 마른메밀의 원조집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梨)식당이 기술을 전수하고 이민을 떠났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화신모밀의 주인이 오랫동안 주방을 맡기도 했었다. 광주식 마른메밀과 멸치육수에 파, 김가루, 튀김 알갱이가 들어 간 메밀국수를 비롯해 다른 지방에는 없는 메밀짜장이 특색이 있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1번 출구에서 166m ]
-
- 광주 동구 학동 74-24
- 062-225-1532
- 고향의맛순대국밥 - 광주에서 암뽕순대가 유명한 곳.
암뽕에 돼지 피와 콩나물, 야채 등으로 속을 채워 묵직함과 쫄깃함이 일품인 암뽕순대로 잘 알려진 집이다. 머리고기, 새끼보, 내장 등의 돼지 부산물에 암뽕순대와 찰순대를 올리고 살짝 데친 부추를 얹어서 내는 남광주시장 수육 스타일의 특모둠은 안주용으로, 식사용으로는 다양한 부위를 섞은 종합국밥을 주로 찾는다. 원래 주인은 이 집을 아들에게 물려주고 두암동에 내고향국밥이란 상호로 새로 가게를 열었다.
[ 남광주역 3번 출구로 나와 전대병원 응급실앞 삼거리에서 좌회전하면 우측 ]
-
- 광주 동구 충장로1가 1-9
- 062-222-3477
- 궁전제과 (본점) - 광주를 대표하는 노포 베이커리.
1973년 개업한 전통 있는 빵집으로, 나비 날개 모양의 겹겹이 붙은 패스트리에 달콤한 시럽이 올라간 나비파이, 바게트의 속을 파낸 뒤 감자 달걀 등이 버무려진 샐러드를 채워 넣은 공룡알빵이 인기다. 오래된 빵집이지만 톡톡 튀는 독창적인 베이커리류와 작고 예쁜 케이크, 타르트, 수제 초콜릿 등 현대적인 트렌드의 제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여름에는 팥빙수도 인기라고 한다.
[ 1호선 문화전당역 3번 출구로 나와 스타벅스 옆 골목 ]
-
- 광주 동구 금남로5가 168
- 062-224-1900
- 꽃담 - 육회와 육회 비빔밥이 맛있는 곳.
1958년 명식당을 시작으로 3대째 60여 년 전통을 잇는 노포로, 30여 년 전 당시 광주에서는 생소한 생고기 메뉴를 대중화시킨 집으로 유명하다. 비교적 저렴한 부위인 설두를 양념에 묻힌 육회와 아삭한 채소가 육회와 어우러진 육회 비빔밥이 대표 메뉴이며, 한우 등심 중에서도 최고급 부위로 부드럽게 살살 녹는 새우살, 진한 육향과 쫄깃한 식감이 일품인 안창살 등의 특수부위도 맛볼 수 있다. 소쿠리에 9가지의 정갈하고 맛깔진 반찬이 나오며, 반찬 중에서도 멸치젓과 통영산 굴이 어우러진 생김치가 맛있기로도 유명하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3번 출구로 나와 뒤돌아 밀알신협 옆 골목으로 좌회전, 쓰달쇼핑센터 맞은편 ]
-
- 광주 동구 대인동 307-38
- 062-224-6943
- 나주식당 - 가성비 최강의 국밥과 순대 모둠.
대인시장 국밥 골목에 위치한 순댓국집으로, 국밥 2그릇을 주문하면 어마어마한 양의 순대 모둠이 서비스로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맑고 담백한 국밥은 맑고 담백하면서도 콩나물이 들어가 시원한 맛이 일품이며, 잡내 없이 잘 삶은 다양한 부위의 내장들과 찰순대를 담고 들깨가루를 뿌리고 부추로 마무리한 순대 모둠은 술안주로도 그만이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3번 출구에서 622m, 대인시장 국밥골목 내 ]
-
남양회관 (구 남양통닭)
한식 | 가금류 | 닭
- 광주 동구 충장로4가 36-4
- 062-223-8011
- 남양회관 (구 남양통닭) - 한시대를 풍미한 50여 년 전통의 전기구이 통닭집.
1968년 충무로 영양센타의 분점 형식으로 출발한 50여 년 전통의 전기구이 통닭집이다. 현지인들에겐 원래 이름인 남양통닭으로 더 유명하며, 껍질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고 촉촉한 전기구이 통닭과 삼계탕이 대표 메뉴이다. 1975년 외래어 사용 금지로 인해 남양통닭으로 변경해 영업하다가 10여 년 전 리모델링하면서 삼계탕, 오리탕, 육개장 등의 식사 메뉴를 추가해 남양회관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현재는 닭칼국수가 주력이다.
[ 금남로4가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우회전, 충장치안센터 맞은편 골목으로 들어간 후 좌회전 ]
-
- 광주 동구 학동 262-12
- 062-234-5673
- 데이지 (Daisy 본점) - 전병에 싸 먹는 이색 돈가스 쌈밥.
20여 년 업력의 퓨전 돈가스 전문점으로, 전병에 쌈무와 돈가스, 각종 채소를 올리고 돌돌 말아서 소스에 찍어 먹는 쌈 돈가스 원조집이다. 쌈돈가스와 알밥, 미소된장국이 나오는 데이지정식이 인기이며, 소스에 들어갈 통깨를 직접 갈아 소스에 섞어서 먹는다. 단품으로 돈가스를 시킬 수도 있으며, 사이드 메뉴로 치킨 또띠아도 추천할 만하다.
[ 광주창의융합교육원 맞은편, 학동금호베스트빌 우측 ]
-
라롱드꺄레 (La Ronde Carrée)
양식 | 프랑스식
- 광주 동구 운림동 661-12
- 062-232-3375
- 라롱드꺄레 (La Ronde Carrée) - 갤러리 분위기의 프렌치 레스토랑.
클래식 프렌치를 기반으로 비스트로노미를 지향하는 프렌치 레스토랑으로, 세계 3대 요리학교인 르 꼬르동 블루 출신으로 파리의 미슐랭 3스타 라스트렁스(L’astrance)에서 경력을 쌓은 김현우 오너 셰프가 오픈한 곳이다. 아뮤즈 부시를 포함해서 8코스로 구성된 디너 코스가 인기이며, 지역의 제철 재료를 활용해 철마다 바뀌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메뉴 구성, 디저트, 와인 페어링까지 만족도가 높다. 2019년 개업.
[ 학운초등학교 체육관 도로 건너편 ]
-
- 광주 동구 지산동 58
- 062-228-2942
- 명선헌 - 광주에서 손에 꼽히는 남도식 한정식집.
1998년 개업, 김치요리연구가 최인순 씨가 운영하는 한정식집이다. 야산 자락에 위치하여 수려한 경관과 함께 깔끔하고 맛깔스러운 한정식을 맛볼 수 있으며, 남도 최고의 보김치 맛으로도 손꼽힌다. 본래 개성의 궁중음식으로 알려진 '보김치'가 전라도의 양반가를 중심으로 전해져 왔는데, 2001년 광주김치축제에서 대통령상을 받기도 한 이 집의 보김치는 청각, 전복, 소라를 비롯해 사과, 배, 석류, 마늘, 생강 등 30여 가지 재료가 들어간 것이 특징이다. 서울 논현동과 서초동에 분점이 있으며 여기서도 유명한 '보김치'를 맛볼 수 있다.
[ 지산동 무등산관광호텔 방향 ]
-
- 광주 동구 동명동 138-5
- 062-228-3101
- 미미원 - 육전과 해물전이 유명한 곳.
광주에서 육전으로 유명한 집 중의 하나로, 얇게 저민 아롱사태에 계란 옷을 입혀 즉석에서 노릇하게 부쳐내준다. 육전을 비롯해 굴, 낙지, 키조개, 맛조개 등의 해물전을 잘하며, 묵은지나 파채를 곁들이면 더 맛있다. 육전이나 해물전을 맛본 후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는 뚝배기 정식을 시키면 돌솥밥과 토하젓, 깻잎절임 등 맛깔스러운 반찬과 된장국이 나온다. 넓은 마당이 있는 한옥 가정집을 개조해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 문화의전당역 2번 출구, 조선대학교에서 남광주역 반대 방향으로 직진, 서석초등학교 뒤 동구 견인보관소 좌측 ]
-
- 광주 동구 금남로5가 86-2
- 062-223-9489
- 새반도정 - 광주 스타일의 오래된 정종집.
1981년 개업한 40여 년 전통의 집으로, 광주에서 정종집으로 불리며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한국화된 일식집이다. 광주 스타일의 횟집답게 홍어삼합, 생고기, 육전 등을 비롯해 젓갈, 묵은지, 갓김치 등의 한식 반찬들이 곁들이로 나오는 것이 특징이며, 저렴한 가격대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함께 나오는 옛날 스타일의 회정식과 정식, 메로와 고니를 넣고 푹 끓인 시원하고 담백한 흑태탕을 추천할 만하다.
[ 금남로4가역 3번 출구에서 직진. 한국씨티은행에서 우회전 후 두 번째 골목에서 좌회전하면 좌측 ]
-
-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146
- 062-223-2232
- 송하회관 - 현재까지 명맥을 잇고 있는 남도식 일식의 정종집.
광주 인근에서 한 때 정종집으로 불리며 성업했다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이제는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남도식 일식집이다. 일식에 홍어삼합을 비롯한 다양한 남도식 계절음식을 같이 즐길 수 있어 접대나 회식에 최적화 된 곳이며, 연배가 있으신 분들이 주로 많이 찾는다. 5kg 이상의 광어, 도미 등의 생선을 사용하고 홍어, 꼬막, 남도식 육사시미, 보리굴비 등 다양한 제철음식들이 곁들이로 나온다. 1991년 개업.
[ 동구 불로동 서남대학교 병원 인근에 위치 ]
도로명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35번길 28-3
-
- 광주 동구 충장로5가 42
- 062-223-6849
- 신락원 (新樂園) - 짜장면과 탕수육이 맛있는 곳.
1982년 개업한 40여 년 전통의 화상 중국집으로, 짜장면, 짬뽕, 탕수육이 맛있기로 유명하다. 계란 프라이가 올라간 간짜장과 바삭하면서도 속은 야들야들한 탕수육, 홍합이 들어간 짬뽕이 인기다. 광주에서만 7개의 체인을 거느린 본점이며, 체인마다 맛의 오차가 있는 편이므로 참고하는 것이 좋다.
[ 금남로4가역 2번 출구, KEB하나은행 뒤편 ]
-
- 광주 동구 수기동 59
- 062-225-5200
- 쌍학 - 수기로에 위치한 남도식 일식집.
1978년 개업한 40여 년 전통의 남도식 일식집이다. 완도에서 그날그날 직송해온 생선회를 비롯해 전복, 해산물 요리, 홍어 삼합, 튀김 등이 제공되는 정식이 인기이며, 민어매운탕, 농어머리탕, 돔머리탕 등의 매운탕도 별미다. 금남로에서 영업하다 1994년 새 건물을 지어 지금의 자리로 이전해 왔다. 비즈니스 접대나 상견례 장소로도 인기다.
[ 금남로4가역 2번 출구에서 하나은행 끼고 우회전, 두 번째 사거리 광주극장 옆 ]
-
- 광주 동구 동명동 154-112
- 062-228-2345
- 알랭 (alain) - 광주의 터줏대감 격인 프렌치 레스토랑.
클래식 프렌치에 모던함을 가미한 컨템퍼러리 스타일의 코스를 선보이는 프렌치 레스토랑이다. 드라이 에이징한 한우 스테이크를 맛볼 수 있는 클래식 런치코스와 해산물 수프와 파테 엉크루트, 쥐 드 볼라이 소스를 곁들인 메추리 요리가 추가된 알랭 코스를 선보인다. 채식주의자를 위한 다양한 채소 플레이트를 선보이는 비건 코스도 따로 운영 중이다.
2002년 12월 카페로 시작해 2014년 1월 레스토랑으로 전환.
[ 북구청 맞은편 먹자골목, 동명동주민센터 옆 ]
-
- 광주 동구 계림동 393-1
- 062-222-5048
- 영광식당 - 가성비 최강의 국밥집.
1980년 개업한 노포로, 광주 대인시장 국밥 골목에서 가성비 좋기로 유명한 로컬 맛집이다. 돼지 머리뼈와 등뼈를 24시간 우려낸 깔끔하고 담백한 국물에 콩나물과 함께 각각 다른 솥에서 섞이지 않게 삶아낸 머리고기, 막창, 내장이 푸짐하게 들어간 국밥을 만날 수 있으며, 심지어 국밥 2인분 이상을 시키면 머리고기, 새끼보, 오소리감투, 염통, 내장, 찰순대 등의 순대 모둠이 서비스로 나와 다양한 부위를 푸짐하게 즐길 수 있어 가성비 최강의 국밥집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 1호선 금남로4가역 3번 출구에서 658m, 대인시장 국밥골목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