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 광주시 남종면 삼성리 299-14
- 031-762-5574
- 강마을다람쥐 - 잘 꾸며진 정원과 남한강변을 산책할 수 있는 분위기 있는 묵집.
도토리로 만든 다양한 음식들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묵밥, 도토리전, 도토리면, 전병 등 12가지의 도토리 메뉴가 준비되어 있으며, 12가지 도토리 메뉴를 다 맛볼 수 있는 다람쥐소풍세트가 인기다. 강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한 하얀 벽, 파란색 창문이 예쁜 건물, 잘 꾸며진 정원 끝자락에 남한강이 접해 있어 산책하기에도 좋다. 예약이 되지 않아 대기표를 받고도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아쉽게도 도토리는 중국산을 사용한다. 2002년 개업.
[ 미사리에서 팔당댐 지나 광주 방향으로 2km 직진 좌측에 위치 ]
-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73
- 070-8883-3080
- 건강한밥상 (남한산성 건강한밥상) - 남한산성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한 한식당.
엄나무 혹은 옻나무를 선택해 진하게 고아 내는 오리백숙, 토종닭 백숙이 유명하며, 매콤한 닭볶음탕과 강원도 정선의 곤드레 나물로 지은 곤드레밥과 나물 반찬이 나오는 곤드레 밥상이 인기인 집이다. 남한산성 자락 꼬불꼬불 길을 따라 경치 좋은 곳, 숲 한가운데 위치해 나들이 외식으로 그만인 집이다. 백숙은 팽이버섯과 부추를 얹어서 내는 방식이 독특하며, 곤드레밥은 리필이 된다.
[ 남한산성 로터리에서 광주 방향으로 내려가다 보면 우측 ]
-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건업리 335-4
- 031-763-5635
- 건업리보리밥 - 전통 보리밥에 다양한 찬이 나오는 특정식.
국산 콩을 사용해 재래식으로 담근 된장과 청국장이 유명한 집이다. 강된장과 청국장이 나오는 보리밥을 주문해도 좋지만 닭볶음탕과 게장, 보쌈을 비롯해 다양한 찬이 깔리는 특정식을 주문하면 가격 대비 만족도 높은 보리밥을 즐길 수 있다. 직접 키운 토종닭을 사용해 만드는 토종닭 삼계탕도 선보이고 있다.
[ 건업교 인근 금상엔지니어링 맞은편 ]
-
골목집소머리국밥
한식 | 국물요리 | 소머리국밥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442-14
- 031-762-6265
- 골목집소머리국밥 - 곤지암 소머리국밥이 탄생한 원조집.
1974년 최미자 씨가 '사골국'이라는 소머리국밥 이전의 레시피로 국밥을 끓이던 곳으로, 곤지암을 소머리국밥의 성지로 만든 원조집이다. 곤지암 소머리국밥이라는 말 자체가 이 집 때문에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1994년부터는 골목집은 권리가 이종영 씨에게 양도되어 운영되다 현재는 다시 건물주가 운영하고 있다.
[ 중부고속도로 곤지암 요금소에서 이천 방향으로 약 3킬로쯤 가다 우측 대로변 ]
-
- 경기 광주시 도척면 궁평리 279
- 031-761-3190
- 궁평식당 - 곤지암리조트 초입에 위치한 펍 분위기의 정육식당.
1987년 개업한 30여 년 전통의 정육식당으로, 두툼한 투뿔등심과 명월집이 연상되는 스테이크 두께의 흑돼지구이가 유명하다. 한우 암소고기와 지리산 흑돼지고기만 취급하고 국내산 참숯을 사용해 만족도가 높다. 유리로 지은 온실 느낌의 외관과 바와 라운지가 있는 빈티지한 펍 분위기의 실내가 인상적이며, 하우스맥주와 와인 등도 즐길 수 있다.
[ 곤지암리조트 초입에 위치 ]
-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리 194-1
- 031-746-3800
- 낙선재 (남한산성 낙선재) - 운치 있는 전통 한옥에서 닭볶음탕을 맛볼 수 있는 곳.
운현궁의 낙선재를 본뜬 전통 한옥의 그윽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한정식집이다. 개별 룸에서 맛보는 토종닭볶음탕이 유명하며 백숙도 많이 찾는다. 겨울에는 마당에 모닥불이 있어 편하게 담소를 나누기에도 그만이며, 정감 어린 장독대와 운치 있는 한옥의 분위기와 더불어 잠시 추억에 젖을 수 있는 곳이다.
[ 남한산성 남문주차장에서 로터리 끼고 5km 직진, 불당리 입구 ]
-
라그로타 (Lagrotta)
펍앤바 | 와인바
- 경기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534
- 031-8026-5566
- 라그로타 (Lagrotta) - 국내 최대 지하 동굴형 와인 카브.
곤지암 리조트에 있는 와인 카브 겸 이탈리안 레스토랑으로, 와인 10만 병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셀러를 갖추고 있는 동굴형 와인 카브이다.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호주, 칠레 등 14개 나라에서 생산된 220여 종의 와인을 갖추고 있으며, 가격대 또한 3만원 대에서 수백만원 대로 다양하다. 와인을 곁들여 루꼴라와 파스타, 그릴 구이 스테이크 등 수준 높은 메뉴를 맛볼 수 있다. LG그룹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출입은 중학생 이상으로 나이 제한이 있다. 2009년 개업.
[ 곤지암리조트 내, 스키하우스 옆 ]
-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94-1
- 031-798-6598
- 란이네가든 - 김치가 유명한 퀄리티 좋은 영암 한우 전문점.
곤지암리조트 인근에 위치한 고깃집으로, 무항생제로 사육한 1++ 등급 퀄리티의 영암 한우를 맛볼 수 있다. 꽃등심, 살치살, 안창살 등 부위별 고기도 맛있지만, 김치가 맛있기로 유명하며, 고기를 먹은 후 식사로 주문이 가능한 곤드레 나물밥과 청국장, 그리고 묵은지 고등어찌개가 별미이다. 주인이 직접 담근 김치가 워낙 맛이 있어 정기적으로 사 가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예약은 1주일 전에 해야 한다.
[ SK셀프곤지암주유소 인근 ]
-
- 경기 광주시 남종면 삼성리 299-14
- 031-762-5574
- 강마을다람쥐 - 잘 꾸며진 정원과 남한강변을 산책할 수 있는 분위기 있는 묵집.
도토리로 만든 다양한 음식들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묵밥, 도토리전, 도토리면, 전병 등 12가지의 도토리 메뉴가 준비되어 있으며, 12가지 도토리 메뉴를 다 맛볼 수 있는 다람쥐소풍세트가 인기다. 강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한 하얀 벽, 파란색 창문이 예쁜 건물, 잘 꾸며진 정원 끝자락에 남한강이 접해 있어 산책하기에도 좋다. 예약이 되지 않아 대기표를 받고도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아쉽게도 도토리는 중국산을 사용한다. 2002년 개업.
[ 미사리에서 팔당댐 지나 광주 방향으로 2km 직진 좌측에 위치 ]
-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73
- 070-8883-3080
- 건강한밥상 (남한산성 건강한밥상) - 남한산성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한 한식당.
엄나무 혹은 옻나무를 선택해 진하게 고아 내는 오리백숙, 토종닭 백숙이 유명하며, 매콤한 닭볶음탕과 강원도 정선의 곤드레 나물로 지은 곤드레밥과 나물 반찬이 나오는 곤드레 밥상이 인기인 집이다. 남한산성 자락 꼬불꼬불 길을 따라 경치 좋은 곳, 숲 한가운데 위치해 나들이 외식으로 그만인 집이다. 백숙은 팽이버섯과 부추를 얹어서 내는 방식이 독특하며, 곤드레밥은 리필이 된다.
[ 남한산성 로터리에서 광주 방향으로 내려가다 보면 우측 ]
-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건업리 335-4
- 031-763-5635
- 건업리보리밥 - 전통 보리밥에 다양한 찬이 나오는 특정식.
국산 콩을 사용해 재래식으로 담근 된장과 청국장이 유명한 집이다. 강된장과 청국장이 나오는 보리밥을 주문해도 좋지만 닭볶음탕과 게장, 보쌈을 비롯해 다양한 찬이 깔리는 특정식을 주문하면 가격 대비 만족도 높은 보리밥을 즐길 수 있다. 직접 키운 토종닭을 사용해 만드는 토종닭 삼계탕도 선보이고 있다.
[ 건업교 인근 금상엔지니어링 맞은편 ]
-
골목집소머리국밥
한식 | 국물요리 | 소머리국밥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442-14
- 031-762-6265
- 골목집소머리국밥 - 곤지암 소머리국밥이 탄생한 원조집.
1974년 최미자 씨가 '사골국'이라는 소머리국밥 이전의 레시피로 국밥을 끓이던 곳으로, 곤지암을 소머리국밥의 성지로 만든 원조집이다. 곤지암 소머리국밥이라는 말 자체가 이 집 때문에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1994년부터는 골목집은 권리가 이종영 씨에게 양도되어 운영되다 현재는 다시 건물주가 운영하고 있다.
[ 중부고속도로 곤지암 요금소에서 이천 방향으로 약 3킬로쯤 가다 우측 대로변 ]
-
- 경기 광주시 도척면 궁평리 279
- 031-761-3190
- 궁평식당 - 곤지암리조트 초입에 위치한 펍 분위기의 정육식당.
1987년 개업한 30여 년 전통의 정육식당으로, 두툼한 투뿔등심과 명월집이 연상되는 스테이크 두께의 흑돼지구이가 유명하다. 한우 암소고기와 지리산 흑돼지고기만 취급하고 국내산 참숯을 사용해 만족도가 높다. 유리로 지은 온실 느낌의 외관과 바와 라운지가 있는 빈티지한 펍 분위기의 실내가 인상적이며, 하우스맥주와 와인 등도 즐길 수 있다.
[ 곤지암리조트 초입에 위치 ]
-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리 194-1
- 031-746-3800
- 낙선재 (남한산성 낙선재) - 운치 있는 전통 한옥에서 닭볶음탕을 맛볼 수 있는 곳.
운현궁의 낙선재를 본뜬 전통 한옥의 그윽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한정식집이다. 개별 룸에서 맛보는 토종닭볶음탕이 유명하며 백숙도 많이 찾는다. 겨울에는 마당에 모닥불이 있어 편하게 담소를 나누기에도 그만이며, 정감 어린 장독대와 운치 있는 한옥의 분위기와 더불어 잠시 추억에 젖을 수 있는 곳이다.
[ 남한산성 남문주차장에서 로터리 끼고 5km 직진, 불당리 입구 ]
-
라그로타 (Lagrotta)
펍앤바 | 와인바
- 경기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534
- 031-8026-5566
- 라그로타 (Lagrotta) - 국내 최대 지하 동굴형 와인 카브.
곤지암 리조트에 있는 와인 카브 겸 이탈리안 레스토랑으로, 와인 10만 병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셀러를 갖추고 있는 동굴형 와인 카브이다.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호주, 칠레 등 14개 나라에서 생산된 220여 종의 와인을 갖추고 있으며, 가격대 또한 3만원 대에서 수백만원 대로 다양하다. 와인을 곁들여 루꼴라와 파스타, 그릴 구이 스테이크 등 수준 높은 메뉴를 맛볼 수 있다. LG그룹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출입은 중학생 이상으로 나이 제한이 있다. 2009년 개업.
[ 곤지암리조트 내, 스키하우스 옆 ]
-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94-1
- 031-798-6598
- 란이네가든 - 김치가 유명한 퀄리티 좋은 영암 한우 전문점.
곤지암리조트 인근에 위치한 고깃집으로, 무항생제로 사육한 1++ 등급 퀄리티의 영암 한우를 맛볼 수 있다. 꽃등심, 살치살, 안창살 등 부위별 고기도 맛있지만, 김치가 맛있기로 유명하며, 고기를 먹은 후 식사로 주문이 가능한 곤드레 나물밥과 청국장, 그리고 묵은지 고등어찌개가 별미이다. 주인이 직접 담근 김치가 워낙 맛이 있어 정기적으로 사 가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예약은 1주일 전에 해야 한다.
[ SK셀프곤지암주유소 인근 ]
-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건업리 328-1
- 031-763-9255
- 마당넓은집 - 한식 명인 장연순의 최상급 한우와 나물 반찬.
영주 소백산 일대에서 키운 한우를 취급하는 고깃집이지만, 특이하게 산나물, 들나물 등 15가지의 화려한 나물 반찬들과 더불어 장아찌가 압권인 집이다. 가격대는 비싼 편이나 나물 고유의 맛을 잘 살린 자연스러운 양념의 나물 반찬들과 눈꽃 마블링에 부드러움이 특징인 꽃등심과 안창살, 치맛살 등의 특수부위가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청국장도 별미다.
[ 광주원주고속도로 동곤지암 IC로 나와 양평 방향 100m 좌측 ]
-
먹보한우 (본점)
한식 | 육류 | 소고기구이
- 경기 광주시 쌍령동 48-4
- 031-768-9234
- 먹보한우 (본점) - 경기 광주가 본점인 가성비 좋은 한우 고깃집.
광주에서 가장 큰 기업형 고깃집으로, 저렴한 가격에 합리적인 등급의 저온 숙성 한우를 즐길 수 있다.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참 숯불에 구워서 먹는다. 갈비탕도 인기이며, 소고기 양지와 사태 부위를 넣고 보양탕 스타일로 걸쭉하게 끓인 우쭈리탕도 많이 찾는다. 고기랑 곁들이는 기본 반찬들도 깔끔하며, 고운 고춧가루가 들어간 국물의 시원한 물김치도 맛있다.
[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역동 사거리 방향으로 진행하다 사거리에서 좌회전, 쌍령교 건너 좌회전 ]
-
- 경기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612-14
- 031-766-1505
- 명동칼국수 - 가성비 좋은 얼크니손칼국수 1호점.
2006년 11월 개업한 칼국숫집으로, 전국에 20개의 체인을 거느린 얼크니손칼국수가 시작된 본점이다. 소고기와 미나리, 느타리버섯을 샤부샤부로 즐긴 후 손칼국수를 넣어 끓여서 먹는 얼크니손칼국수와 두 가지의 만두가 메뉴의 전부이며, 육수는 홍탕과 백탕을 선택할 수 있다.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다.닭 육수 베이스의 칼국수 사업을 준비하던 2006년 대규모 조류 파동으로 인해 닭칼국수를 포기하고 새롭게 개발한 얼크니손칼국수가 히트를 치면서 전국에 체인을 거느리게 되었지만, 본점은 옛 상호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 경기 광주 초월읍 자월아치교 삼거리에 위치 ]
-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589
- 031-746-4296
- 백제장 (남한산성 백제장) - 만족도 높은 산채 정식.
1966년 개업한 50여 년 전통의 산채 정식 전문점으로, 남한산성 중턱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해 나들이 외식 장소로 그만인 집이다. 옛 한옥의 고풍스러운 분위기며, 별실 구조의 방에서 기다리면 남도식 한정식집에서나 봄직한 다 차려진 상을 통째 들고 들어온다. 재래 방식으로 음식을 보관하는 토굴이 인상적이며, 초등학생의 경우 산채정식을 반값에 제공하고 있다.
[ 남한산성 남문주차장 바로 옆에 위치 ]
-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002-1
- 031-743-6559
- 산성대가 - 남한산성에서 반찬이 맛있기로 유명한 곳.
전형적인 경기도식의 한식당으로, 굴비와 된장찌개를 중심으로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20여 가지의 정갈한 나물 위주의 반찬이 맛있는 집으로 유명하다. 창업주 할머니의 실력 있는 손맛을 그리워 찾는 20년 넘는 단골이 유독 많은 집이며, 지금은 아들 부부가 그 손맛을 그대로 전수받아 운영하고 있다. 흠잡을 데 없는 반찬들도 훌륭하지만, 묵직한 국물의 구수한 풍미가 일품인 엄나무 오리백숙, 닭백숙과 투박하게 닭 본연의 맛을 잘 살린 닭볶음탕, 수제비를 듬뿍 넣고 끓인 추어탕도 인기다.
[ 남한산성 로터리에서 남문 매표소 방향으로 내려와 첫 번째 골목에서 우회전한 후 왼쪽 두 번째 골목 ]
-
- 경기 광주시 중대동 117-1
- 031-765-1171
- 송유향 (宋侑鄕) - 중대물빛공원의 전망 좋은 중식당.
호수가 조망되는 고급스런 분위기의 중식당으로, 다양한 일품요리부터 코스요리까지 선보인다. 탱글탱글 바삭한 새우에 달콤하고 부드러운 크림소스가 더해진 크림중새우와 온 가족의 행복을 기원하는 요리라는 뜻을 가진 전가복이 일품이다. 식사 메뉴는 웍을 잡는 2~3명의 조리사에 따라 맛의 기복이 있으며, 짬뽕에 비해 간짜장이 특히 맛의 차이가 크다. 송유향은 ‘모든 이에게 권하고 싶은 맛있는 음식이 있는 장소’라는 뜻이라고 한다.
[ 성남에서 광주 방향 389번 도로, 중대동 중대물빛공원(중앙저수지) 우측 ]
-
송트리타임콜라주 (Songtree)
디저트 | 카페
- 경기 광주시 문형동 19
- 070-4077-0460
- 송트리타임콜라주 (Songtree) - 광주 오포읍에 위치한 대형 플랜테리어 카페.
꼬불꼬불한 좁은 길을 따라 들어가야 하는 한적한 시골에 위치한 대형 플랜테리어 카페다. 식물이나 화분을 활용해 포인트를 준 플랜트 인테리어가 특징이며, 통유리창 너머 바로 옆으로 흐르는 작은 개울과 숲을 바라보며 잠시 힐링할 수 있다. 2층에 비해 층고가 높고 개울을 조망할 수 있는 1층 창가 자리가 인기다. 조경회사 송트리에서 2022년 5월 오픈했다.
[ 문형1리 마을회관 지나서 산 방향으로 진행, 티지라이트 지나 좌회전 후 다리 건너면 우측 ]
-
- 경기 광주시 퇴촌면 도수리 93
- 031-767-9852
- 쇠뫼기 - 광주 퇴촌에 위치한 분위기 좋은 청국장집.
1995년 개업한 20여 년 전통의 집으로, 5년 된 깍두기를 넣어서 조리한 청국장이 유명하다. '소에게 여물이나 풀을 먹이다'를 뜻하는 옛말을 상호로 사용해, 분위기 넘치고 운치 있는 주변의 풍경과 잘 어울린다. 맹물에 청국장을 풀고 김치와 두부만 넣어 끓이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전통적인 상차림을 보다 기품있게 재현하고 있으며, 더덕구이와 황태구이를 비롯한 20여 가지의 반찬과 청국장, 돌솥밥이 나온다. 식사 후 근처 천진암계곡에서 산책이나 맑은 물에 발을 담글 수도 있다.
[ 팔당댐을 지나 퇴촌에서 양평 방향으로 가다가 바탕골예술관과 산당 부근 국도변에 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