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마포구 서교동 347-18
- 02-6052-3989
- 산띠 (Shanti) - 홍대 인근에서 인도, 네팔 음식을 즐길 수 있는 곳.
네팔 출신 주방장이 만드는 인도, 네팔 음식을 저렴한 가격에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커리를 비롯한 음식들이 다른 인도, 네팔 음식점에 비해 순하고 부드러운 게 특징이다. 상큼한 그린 샐러드와 함께 탄두리에서 직접 구운 탄두리 치킨 반마리, 인도 전통 빵인 난과 커리를 한꺼번에 맛볼 수 있는 런치세트가 인기다. 산띠(Shanti)는 산스크리트어로 '마음의 평화'를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 홍대입구역 8번 출구로 나와 직진 후 CU를 끼고 우측으로 10m 좌측 건너편 ]
-
- 서울 마포구 창전동 5-138
- 02-334-0118
- 산울림1992 - 참신한 안주류와 다양한 한국 술이 매력인 곳.
1992년 개업한 한식 주점으로, 반상으로 나오는 독특한 형식의 안주 콘셉트가 특색이 있다. 첫 주문 시 반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고, 그 이후에는 단품으로 주문이 된다. 참신하고 맛있는 안주류와 100여 가지가 넘는 전통주와 소주를 구비하고 있어 주당들의 천국으로 불린다. 다양한 종류의 샘플러도 준비되어 있어, 선택해 마실 수 있다는 것도 매력이다.
[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도보 7분, 홍대땡땡거리 입구 우측 ]
-
삼해귀주 (三亥鬼酒)
펍앤바 | 전통주/지역특산주
- 서울 마포구 성산동 103-5
- 010-5216-8093
- 삼해귀주 (三亥鬼酒) - 마니아층이 있는 명품 소주.
가장 독한 71.2도 증류식 소주이자 애주가들 사이에서 '한국 최고의 소주'라고 입소문을 타며 마시고 싶어도 구매하기 어려워 극히 일부만 즐겼던 술이다. '사람은 귀신이 되고, 귀신은 사람이 되는 술'이라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목 끝이 쨍하게 울릴 정도로 강렬하면서도 부드러운 맛과 사과꽃 같은 향이 입과 코안에 퍼지는 맛을 자랑한다.쌀, 물, 누룩만으로 양조하는 삼해소주는 1년에 단 세 번만 술을 빚는데, 이 귀한 삼해소주를 두 번 더 증류하여 프리미엄 버전인 삼해귀주가 만들어진다. 하루 400ml 작은 병 하나밖에 나오지 않기에 수요에 비해 턱없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삼해소주(三亥燒酒, Samhae Soju) - 동국세시기 , 조선왕조실록 에도 언급된 서울의 대표 술이자 한양의 이름난 문인들이 사랑했던 900여 년 역사의 술로, 정월 첫 돼지일(해일) 해시에 밑술을 빚기 시작해 다음 해일마다 두 번 더 덧술을 해 빚는다고 해서 삼해주라는 이름을 얻었다.
[ 6호선 마포구청역 3번 출구로 나와 직진, 성산2교 사거리에서 우회전 후 직진하면 우측, 삼해소주가 ]
-
서울브루어리 (Seoul Brewery)
펍앤바 | 펍
- 서울 마포구 합정동 368-10
- 070-7756-0915
- 서울브루어리 (Seoul Brewery) - 캐나다 출신 헤드 브루어가 만드는 크래프트 비어.
당인리발전소 인근 한적한 주택가에 위치한 크래프트 비어 전문 브루어리 펍으로, 캐나다 출신 헤드 브루어가 직접 양조한 다양한 종류의 맥주 라인업이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몰트 본연의 맛과 밸런스를 잘 맞추는 곳으로 정평이 났으며, 오렌지, 패션프루트 향의 샐린저 호밀 IPA와 다섯 가지 홉을 사용해 만든 풍부한 향의 페일블루닷 IPA가 시그니처 맥주다. 프랑스식 타르트인 키세요와 크러스트니도 인기.
[ 합정역 7번 출구로 나와 할리스커피 옆 골목으로 직진, 두 번째 골목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우회전, 홀리그린 골목 ]
-
- 서울 마포구 도화동 308-1
- 02-707-0090
- 서울큰입탕 - 마포역 대구 요리 전문점.
정겨운 한옥 분위기의 대구 요리 전문점으로, 남도 출신 30년 내공의 박순아 주방장이 대구를 활용해 만드는 찜과 탕이 주력이다. 대구 머리에 들깨가루와 전분을 입혀 육수에 초벌한 후 까다로운 조리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대구뽈찜은 대구 머리의 쫄깃함과 녹진한 곤이, 아삭한 콩나물이 어우러진 자극적이지 않은 깔끔함이 일품이며, 채수로 끓인 맑은 국물에 국내산 생대구와 미나리를 넣어 시원하게 끓여 낸 대구탕은 해장용으로도 그만이다. 2014년 개업.
[ 5호선 마포역 3번 출구 나와 우회전 후 좌회전하면 파리바게뜨 좌측 좁은 골목 안 ]
-
- 서울 마포구 서교동 457-3
- 02-336-1923
- 설고기집 - 망원동에 위치한 가성비 최강의 정육식당.
저렴한 가격에 등심, 안심, 치맛살 등의 질 좋은 한우를 비롯해 미국산 주물럭을 돼지고기 가격에 맛볼 수 있는 집으로, 서울에서도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하는 곳이다. 소금으로 밑간을 한 한우 등심과 가볍게 양념한 달달한 주물럭이 대표 메뉴이며, 화력 좋은 참숯에 구워서 먹는다. 밑반찬과 된장찌개, 김치찌개 등 음식들은 전반적으로 간이 센 편이다.
[ 망원역 1번 출구로 나와 CU편의점과 스타벅스 사이 골목길로 직진하다 골목 끝에서 좌회전 70m, 진진 맞은편 ]
-
- 서울 마포구 성산동 450
- 02-306-2001
- 성산왕갈비 - 돼지 생갈비의 성지.
극강의 돼지 생갈비를 맛볼 수 있는 집으로, 갈비 중에서도 지방질이 적당하고 식감이 쫄깃해 가장 맛이 좋다는 가슴 쪽 부위를 주로 취급하는 곳이다. 두툼하고 큼직한 돼지 생갈비에 듬성듬성 칼집을 넣고 왕소금을 뿌려 참숯에 굽는 방식이 제주도식과 비슷하다. 4인분 정도 크기의 생갈비 한 판(1덩어리)의 가격은 비싼 편이지만 고기의 퀄리티를 생각하면 충분히 상쇄될 수 있을 정도로 만족도가 높다. 아삭한 오이무침을 비롯한 깔끔한 밑반찬과 된장찌개도 별미다. 주문 시 4인분용 갈비를 선택하면 부위가 더 좋다고 한다.
[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2번 출구에서 435m ]
-
- 서울 마포구 용강동 45-21
- 02-718-8543
- 성우서서갈비 - 착한 가격에 한우 소갈비를 맛볼 수 있는 곳.
1992년 개업한 30여 년 전통의 집으로, 메뉴는 한우 소갈비 한 가지가 전부이며 원형 드럼통에 연탄을 넣고 둘러앉아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다. 고기는 초벌구이 한 상태로 나와 연탄불에 살짝만 익히면 된다. 곁들이는 상추와 깻잎 등의 야채에 양념장을 뿌린 상추 무침과 오이, 고추, 마늘 등이 전부지만, 착한 가격에 한우 소갈비를 즐길 수 있어 방문자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 마포역 1번 출구로 나와서 마포대교 직전 신한은행 끼고 우회전, 카페베네 끼고 우회전하면 좌측 ]
-
- 서울 마포구 서교동 332-19
- 02-2296-4310
- 성화라멘 (盛華ラ-メン) - 호프켄의 기술과 재료로 선보이는 전통 일본 생라멘.
1934년 빈보켄(貧乏軒)이라는 라멘 포장마차로 시작해 일본 라멘 역사의 여명기를 장식한 3대 째 90년 전통의 일본의 호프켄(ホープ軒) 라멘집에서 기술과 재료를 직접 전수받은 노부부가 운영하는 집이다. 호프켄 창업자인 난바 후미오 씨 가족과 친분으로 20여 년 전 신도림에서 호프켄 한국 지점을 오픈했으나 실패, 2014년 7월 재 오픈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전통 생라멘을 선보이고 있다. 돈코츠 향이 적당히 풍기는 심플하면서도 깊은 국물 맛이 일품이다. 호프켄은 돼지의 등 비계(세아부라)를 국물에 갈아 넣는 스타일의 원조로 알려져 있다.
[ 2호선 홍대입구역 8번 출구로 나와 우회전, 도로 건너서 형님저요 골목으로 진입 후 좌회전하면 우측 ]
-
- 서울 마포구 망원동 57-38
- 02-336-2617
- 소금집델리 (Salt House Deli) - 소금집공방에서 개업한 제대로 된 샤퀴테리아.
2016년부터 수제 가공육을 연구해 온 소금집 공방에서 2018년 오픈한 육류 가게로, 소금집공방에서 만든 수제 가공육으로 만든 다양한 요리를 선보인다. 제주산 흑돼지에 프랑스산 이즈니 버터(Beurre D’Isigny)를 사용한 프랑스 국민 샌드위치 잠봉뵈르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콜드샌드위치와 핫샌드위치, 안주로 더없이 좋은 샤퀴테리 보드 등의 요리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와인과 칵테일, 위스키 등을 취급한다. 2018년 개업.
[ 6호선 망원역 2번 출구로 나와 마포구청역 방향 하나은행 끼고 좌회전 후 우회전, 두 번째 골목에서 좌회전 ]
-
소울한우 (Soul)
한식 | 육류 | 소고기구이
- 서울 마포구 도화동 250-4
- 02-702-0101
- 소울한우 (Soul) -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투뿔 한우 전문점.
서울안심축산에서 운영하는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한우 전문점으로, 식당 외부에서도 볼 수 있는 대형 유리 숙성고에서 1++ 한우 원육을 504시간 숙성해 맛과 육향, 식감의 치우침 없는 밸런스가 일품이다. 안심, 등심, 업진살, 낙엽살, 치마살과 육회, 활전복, 관자, 더덕구이, 활랍스터가 들어간 라면 등이 나오는 4인 세트 메뉴인 산해진미를 비롯해 등심, 특수부위, 육회가 나오는 소한마리 메뉴, 등심, 안심, 새우살 구성의 등안새가 시그니처 메뉴이다.그릴링 스킬이 남다른 주인장이 직접 구워준다. 2021년 11월 개업.
[ 5호선 마포역 3번 출구에서 158m ]
-
소이연남 (Soi Yeonnam)
에스닉 | 태국식
- 서울 마포구 연남동 229-67
- 02-323-5130
- 소이연남 (Soi Yeonnam) - 연남동에 위치한 태국식 누들 전문점.
툭툭누들타이의 세컨드 브랜드로, 단돈 2천만원으로 창업해 30여 명의 직원을 거느린 임동혁 대표의 두 번째 태국식 국숫집이다. 태국인 셰프가 직접 만드는 깔끔 담백한 태국식 소고기국수와 스프링롤 스타일의 바삭한 소이뽀삐아가 유명하다. 큼지막한 크기의 부드러운 사태살이 고명으로 올라간 소고기국수는 간간하면서도 단맛이 다소 강한 편이며, 얇은 소면과 굵은 면을 선택할 수 있다. 타이 방콕에 위치한 카오산 로드를 모티브로 꾸몄다고 한다.
[ 홍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연남동 먹자골목 끝자락 사거리 직전 좌측에 위치 ]
-
- 서울 마포구 연남동 226-16
- 02-338-6637
- 송가 (宋家) - 연남동에서 인기 있는 중식 포차.
화교가 운영하는 중국식 포차 콘셉트의 주점으로, 튀김, 볶음 요리가 주를 이루는 60여 가지의 다양한 안주 메뉴가 있어 편하게 술 한잔하기 좋은 곳이다. 안주에 적합하도록 음식의 양을 줄이는 대신 가격을 낮추어 저렴하게 요리와 칭따오, 설화맥주 등을 즐길 수 있다. 유린기와 철판 완자, 막창 튀김 등이 인기다. 40년 중식 경력의 화교 송극인 씨가 운영하고 있다. 2005년 개업.
[ 동교동 삼거리에서 연희동 방향으로 직진. 수협에서 좌회전하면 우측, 동진시장 길 건너편 ]
-
- 서울 마포구 망원동 481-5
- 02-334-9210
- 순대일번지 - 깻잎과 들깨가 어우러진 순댓국과 시그니처 대창순대.
1987년 개업한 30여 년 업력의 노포로, 머릿고기, 오소리감투, 대창순대 등 다양한 부위의 부속 고기에 들깨의 고소함과 수북하게 들어간 깻잎의 향이 어우러진 순댓국과 대창에 선지와 찹쌀, 당면, 채소 등 20여 가지의 재료로 속을 채운 순대가 대표 메뉴이다. 반찬으로 나오는 배추김치와 섞박지도 맛이 좋다.
[ 6호선 망원역 2번 출구에서 마포구청역 방향으로 400m 직진하면 좌측 ]
-
- 서울 마포구 서교동 447-3
- 02-322-0999
- 슈아브 (Suave) - 수제 캐러멜 전문점.
디자인을 전공한 주인 김용래 씨가 만드는 재기 발랄한 캐러멜과 마카롱으로 회자되는 집이다. 전문적인 제과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미대 출신답게 일반적이지 않은 새로운 것들이 가득하다. 소금과 달콤한 캐러멜이 묘한 조화가 인상적인 천일염 캐러멜을 비롯해 밀크티 캐러멜, 녹차 캐러멜, 무화과 캐러멜, 피스타치오 캐러멜, 쇼콜라 캐러멜 등 20여 가지의 캐러멜과 베이컨을 잘게 썰어 넣은 독특한 마카롱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캐러멜은 5개, 10개, 15개, 20개 포장으로만 판매하며, 마카롱과 푸딩도 많이 찾는다. 2011년 개업.
[ 홍대입구역 1번 출구로 나와 홍대입구역 사거리에서 우회전, 우리은행 맞은편 골목 안 ]
-
- 서울 마포구 상수동 86-53
- 02-325-5770
- 스노브 (Snob) - 일본식 수제 케이크가 인기인 곳.
수제 케이크가 맛있기로 유명한 일본식 디저트 카페로, 타르트와 쿠키, 초콜릿, 캐러멜 등의 디저트와 스파클링 와인, 커피, 차를 구비하고 있다. 홍차 풍미가 은은한 얼그레이 케이크가 인기이며, 딸기가 통으로 올라간 프레즈 케이크, 프레즈 타르트도 많이 찾는다. 피오니와 함께 홍대를 대표하는 케이크 맛집으로 알려져 있다. 2008년 개업.
[ 6호선 상수역 1번 출구 극동방송국 방향 70m ]